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derived from various metalliferous mines in Korea. As a results of national wide research for heavy metal contaminations in the vicinity of metalleferous mines, the main contaminants are mine waste materials including tailings. From the materials, toxic elements including As, Cd, Cu, Pb and Zn can be dispersed into downstream through wind and water. Thus, soils around the mines contain elevated levels of those elements, which are over the guide values for environmental regulation of soils in Korea. Arsen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contaminated by mining activities, to a less extent, Cd, Cu, Pb and Zn. In spite of remediation works for some metal mines by the government, there are still lots of abandoned mines which are necessary for reclamation of mining sites. This study also includes that metal concentrations in soils and tailings can be varied upon various decomposition methods including 0.1N HC1 and aqua regia and sequential extraction scheme, with differences in each element, too. This may be due to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such as solubility, mobility and chemical forms in the geochemic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a certain organization should be runned by Korean government for management of abandoned mine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휴폐광 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그 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개별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진 휴폐광 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한 결과, 주요 오염물질은 광미를 포함한 광산폐기물이었다. 이들로부터 다양한 유독성 물질, 특히 As, Cd, Cu, Pb 및 Zn 등이 바람과 물에 의해 하부 수계로 이동되어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 결과 많은 광산들 주변에서 다량의 As 및 중금속이 검출되었으며, 일부는 토양환경보전법의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초과 항목 중에서는 비소의 초과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Cd, Cu, Pb, Zn 등의 오염 빈도도 높은 편이었다. 국가에서 지속적인 광해방지사업을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광산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오염물질의 추출량을 조사한 결과, 광미 및 토양은 지구화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부주도로 휴폐광산의 관리를 위한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