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due to a Rainstorm

호우발생시 저수지 유입 부유사농도의 변화특성 연구

  • 장수형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eservoir operation method in relation to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due to rainstorms. Present analysis is made for the Tamjin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For the hydrologic computations the Huff rainfall distribution,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and Puls reservoir routing method are used.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s calculated by 2-dimensional RMA-4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ssible intake time from the reservoir under low frequency flood is estimated and the rainfall-ret urn period -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urn period-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호우시에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저수지내 부유사 농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정량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탐진댐에 적용되었으며 강우유출관계는 Huff의 강우분포와 Clark의 유역추적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수지 추적은 Puls방법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출량의 산정은 범양토양손실공식을 분포형 개념을 이용 단일호우에 대해 적용하여, 적정 빈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지내에서의 부유사 농도는 2차원 수리모형인 RMA-4를 이용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호우발생시 저수지에서의 취수가능기간에 대한 계산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재현기간 및 강우량에 따른 여러 측면에서 용수공급에 따른 일정 수질 유지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강우시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현, 손광익 (2000). 'MUSLE모형의 국내 개발현장에 대한 적용성 검토,' 2000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99-202
  2. 김웅태, 윤용남, 박무종, 유철상 (2001). '분포형 개념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2호 pp. 131-140
  3. 김동희, 손광익 (2000). 'RUSLE를 중심으로 한 토사유출량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2000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95-198
  4. 박무종, 손광익 (1999). '토사유출량 산정기범의 적용 가능성 검토.', 199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44-650
  5. 심명필, 이용관 (2000). 'GIS를 이용한 범용토양손실공식의 활용에 관한 연구.', 2000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71-376
  6. 안상지, 김진국, 전계원, 백남대 (2000). '수치모형을 이용한 소하천 수계의 부유사농도분포 모의.', 2000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03-206
  7. 오종민, 성기원, 정관수, 심명필 (2000). '댐건설과 환경보존대책 :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질관리와 기술현황.' 2000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37-440
  8. 임재영, 서규우, 송일준 (2000). 'USLE 계열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2000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75-280
  9.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임기태,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16권, 제2호 pp. 112-118
  10. 정희철, 장종경, 신현석 (2000). 'GIS 및 USLE를 이용한 연 토사침식량 산정에의 LS인자 영향분석.', 2000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79-182
  11. 최광희, 이광호 (2000). 'WASP5 모형을 이용한 성층화 호수의 수질모의.', 2000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03-708
  12. 국립방재연구소 (1998).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I)
  13. Kothyari, U.C., and Jain, S.K. (1997). 'Sediment yield estimation using GIS,'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Vol. 42, No. 6, pp. 833-843 https://doi.org/10.1080/02626669709492082
  14. Tiwari, A.K. & Ranvir singh (1997). 'Temporal variation of sediment yield,' J. Hydrol. Eng., ASCE, 1(4), pp. 169-176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6)1:4(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