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벌채적지의 식생구조 변화(II)-황양시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Harvested forest Area(II)-A Case of (Mt.)Baegwoonsan Research forest at Kwangyang City-

  • 오구균 (호남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최송현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
  • 박상규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심항용 (호남대학교 환경디자인 공학부 조경학과)
  • 발행 : 2004.03.01

초록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식생구조 회복과정과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인 백운산의 벌채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2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7년과 1999년, 2001년, 2003년에 식생조사를 하였다. 벌채후 10년간 벌채지의 산림식생변화는 다음과 같다.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벌채 후 1년째에는 잔존 수목인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및 비목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벌채 후 6년째에는 근주맹아목인 때죽나무와 비목나무, 실생목인 두릅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고, 벌채 후 8년차부터 벌채 후 10년차 까지 비목나무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벌채지 산림내부의 종다양도지수는 남서사면에서 계속 낮아졌으며, 북동사면에서는 6년차까지 증가하다가 벌채 후 8년차부터 감소하였다. 흉고직경급(DBH) 분석에서 벌채 후 10년경과시 남서사면의 경우 졸참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의 개체수가 출현율이 높았고, 북동사면의 경우 당단풍나무,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 비목나무. 두릅나무의 개체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기저면적은 남서사면의 경우 8년차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북동사면 경우는 증가하여 사면간 차이를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vegetation recovery process after timber harvesting at (Mt.) Baekwoonsan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Korea. Two monitoring plots were established in 1994 and woody plant were monitored in 1997, 1999, 2001, and 2003. Vegetation development pattern during last ten years (1994-2003) after timber harvesting were as follows;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as of the existing tree were competitive species in the first year after clear-cut,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as of sprout tree and Aralia elata as of seedling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sixth year after clear-cut, and Lindera erythrocarpa, Styrax japonica and Quercus serrata were dominant species from the eighth year to the tenth year after clear-cut. Species diversity index of harvested forest interior was decreased at the southwestern slope while it was increased in the northeastern slope till 6th year and decreased after the 8th year). According to DBH distribution pattern, No. of individuals of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Acer pseudosieboldianum, Styrax obassia, Magnolia sieboldii, Lindera erythrocarpa, and Aralia elata showed good growth in the northeastern slop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lopes in Basal area. It was decreased at the southwestern slopes during the 10th year continuously and it was increased the sixth year however, was decreased after the eighth year at the northeastern slop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갑덕. 김태욱. 김준선(1991) 전남 백운산 벌채지역의 삼림생태계 천이에 관한 연구(I) - 전남 백운산 북사면 천연림 개체군 분포 및 군집의 천이 -. 서울대농대 연습림 연구보고 27: 54-64
  2. 김원, 권영우, 조영호(1991) 팔공산 벌목지의 식생재생과 이차천이. 임양재교수 정년기념논문집 제1권: 11-20
  3. 박명규(1974) 온대활엽수림의 이용벌채가 차대임분구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농대연숨림연구보고 10: 1-54
  4. 박인협(1985) 白雲山地域 天然林生態系의 談林構造 및 物質生産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쪽
  5. 박재현. 1995. 白雲山 成熱開葉樹林 皆伐收穫地에서 伐出直後의 環境變化와 運材路 浸蝕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7쪽
  6. 우보명, 오구균, 김경훈, 박종영, 박정호(1994) 백운산 연습림내 벌채지역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I). 서울대학교 연습림 연구보고 30: 15-25
  7. 이경재, 오구균, 조재창(1988) 내장산국립공원의 식물군집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I) -Ordination방법에의한식생구조분석-. 한국임학회지 77(2):166-177
  8.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9. 장진성(1994) 한국수목의 목록과 학명에 대한 재고.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4(2): 95-124
  10. 지용기,오구균(2001) 산림 벌채적지의 6년간 식생구조 변화(I) -광양시 백운산 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제90(6): 673-682
  11. 山田勇, 吉村健次郎, 四手井網(1966) 伐採適地に植生遷移. 第77回日林講: 519-521
  12.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13. Curtis, J.T. and R.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4.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15. Schmidt, W.C.(1979) Understory vegetation response to harvesting and residue management in a Larch/Firforest.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imber harvest-ing in rocky mountain coniferous forests inSymposium proceedings. pp. 221-248
  16. Shannon C.E. and E.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117pp
  17.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 26: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