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the List of Actual Condition Research to Improve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ged men,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 - a focus on public building -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등의 편의 증진시설 실태조사 리스트 개발연구 -공공건물을 중심으로

  • 유석종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 양우창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 유상완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 온순기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It was 1988 when people pay attention to an importance of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with Seoul Paralympics. In early 1990s, regular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a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handicapped, which results in reforming the Welfare Law for the Handicapped all over the surface. However, keeping pace with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universal design concept, it is required to evaluate a new concept in which way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must be installed. That is, any physical environment, which regards the handicapp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end to isolate them from normal people rather than satisfy their needs. making the handicapped feel more discriminated. All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has to reflect a general idea that the facilities are opened for all the people including the handicapped. Being recently reformed and enacted in order to reflect this essential point, 'the raw of contribut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handicapped, aged men,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1998)' even covers the aged men,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 not to mention of the handicapped. In addition, the law states clearly that all the handicapped can share all the facilities with the normal people, inducing the handicapped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Consequently, the handicapped are acquiring their rights by directly demanding for correction of varied discrimination. Though even more facilities have been provided, most of them are deficient in the quality, setting limits to the handicapped person's living field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Especially, most public buildings in our country rarely provide the adequat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ged men,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list of actual condition research that can effectively detect the inadequacy of facilities in public buildings. Then it will find the aspects to be improved i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way to propose a practical method to improve the facilities in public buildings.

장애인 편의시설에 관한 본격적인 관심은 1988년 서울 장애인올림픽대회를 계기로 장애인의 물리적 환경개선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장애인복지법이 전면 개정되어 편의시설 설치조항이 구체화된 1990년도 초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서구의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의 확산과 함께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방향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즉, 장애인을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물리적 환경은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비장애인으로부터 격리시키게 되고 그들의 차별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장애인 편의시설은 장애인전용 보다는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접근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원칙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제정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1998)'은 이러한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하여, 적용 대상을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으로 확대하였고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설비를 안전하고 편리하며 동등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이들의 사회참여를 증진시켜야 함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이 다양한 유형의 차별에 대해 직접 상담을 의뢰, 당사자들의 권리의식이 높아지는 등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편의시설의 설치수가 급속히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편의시설이 양적 및 질적으로 기본적 수준을 갖추고 있지 못해,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생활반경을 축소시키며 그들의 사회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공공건물을 볼 때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에 활동에 시설적 부적절함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건물 이용 시 발생되는 시설적 부적절함을 조사할 수 있는 실태조사리스트를 개발하여 시설 특성에 대한 개선요구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공공건물 편의시설 관리기준 방향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