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색단고추 시설재배시 에토프 입제의 처리방법별 잔류특성

Residual properties of ethoprophos with treatment methods in sweet pepp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 김진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송병훈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이수형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남홍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손경애 (경남농업기술원 식물환경과)
  • Kim, Jin-Ba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Song, Byung-H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Soo-Hyu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Nam, Hong-Shik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Son, Kyung-Ae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 발행 : 2004.06.30

초록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착색단고추에 대한 ethoprophos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흡수와 휘산의 조건으로 비교 시험한 결과 양액관주에 의한 흡수 시험시 처리 후 10일경에는 열매중 잔류량이 피망의 잔류허용기준(0.02 ppm)에 근접하였으며, 30일 후에 최고 0.06 ppm 이었고 40일 후 까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산에 의한 영향은 밀폐된 시험장치의 지표면에 농약을 처리 후 휘산되는 ehopophos가 열매에 부착되어 72시간 후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고 최고 0.62 ppm까지 검출되어 휘산에 의해서도 잔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기간에 시설내의 해충 방제를 위해 에토프입제를 사용할 경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greenhouse under hydrophilic culture facilities and simulation model to provid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thoprophos treated in sweet pepper's growth. To identify the pattern of absorption-translocation through the plant roots, ethoph 5 % GR were diluted in hydrophilic culture solution and drenched at a time per day for three days. The residue in fruit came closed to 0.02 ppm of MRL at 10 days after treatment(DAT) and reached peaked 0.06 ppm at 30 DAT and remained excess MRL level until around 40 DAT. To confirm the pattern of contamination by volatilization of ethoprophos, ethoph 5%GR was scattered 2 g per cubic meter. At 72 hours after treatment, the residue in sweet pepper fruit was exceed the MRL and the maximum residual amount were 0.62 ppm by volatilization. Consequently the use of ethoprophos during the growth of sweet pepper would be strong possibility to exceed the MRL.

키워드

참고문헌

  1. BCPC (2000) The pesticedes manual (12th) pp.365-366
  2. Tiktak. A. (1998) Application of the pesticide transport assessment model to field study in a humic sandy soil in Vredepeel, the Netherlands. Pesticide Science 52(4):321- 336 https://doi.org/10.1002/(SICI)1096-9063(199804)52:4<321::AID-PS734>3.0.CO;2-T
  3. 김진배, 임양빈, 김갑철 (2000) 수출용 착색단고추의 농약안전사용기준 설정. 2000작물보호연구. pp.423-430
  4. 문영희, 김연태, 김영석, 한수곤 (1993) 토양중 살충제 ethoprophos의 분해성 및 이동성의 측정과 예측에 관한 모델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2(3):209~218
  5. 송철, 황인택, 장경수, 조광연 (1999) 토양중 유기물함량 차이에 따른 고구마뿌리 혹선충(Meloidigne incognita)에 대한 Cabofuran과 Ethoprophos의 효력변동, 수직이동성 및 잔효성조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38(1):47~52
  6. 양환승, 문영희, 김낙응 (1988)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 농약의 토양 및 작물체중 잔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7(1):8-13
  7. 이자영, 한일근, 이상윤, 여익현, 이서래 (1997) 배추에 살포된 몇 가지 농약제제에 따른 성분의 휘산과 비산. 한국환경농학회 16(4):373-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