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eign Trade Strategies of Gaisong Merchants and Modern Companies in Korea.

현대기업과 개성상인의 해외진출전략의 비교분석

  • 박상규 (강원대 경영관광회계학부)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e Gaisong Merchants can be regarded to playa pioneering role to activate the Korea's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In the early period of Yi-Dynasty, the Gaisong Merchants focused on personal trade, but in the middle period of Yi-Dynasty, they entered to the realm of governmental trade. Furthermore, their business activities widened to various forms of trades, for example, smuggling. Utilizing accumulated capital, Gaisong merchants expanded their trading activities to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In recent times, it is necessary for modem Korean companies to diversify risk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ions for production, marketing and R&D abroad or through joint venture, M&A and strategic alliance with foreign companies in order to reduce the risks originated from volatile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s. In this study, we utilize tools of comparative study to compare Gaisong Merchants' foreign trade strategies with those of modem companies such as AMOREPACIFIC, HANILCEMENT and SHINDORICO.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modem Korean companies grew up by following the cases of Gaisong Merchants' business activities. We summarize our main findings as follows. First, both Gaisong Merchants and modem Korean companies have common functional core capability in the field of marketing, manufacturing technology, R&D,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cond, both Gaisong Merchants and modem Korean companies have common organizational core capability. Third, both Gaisong Merchants and modem Korean companies have common infrastructures such as planning, finance, accounting and MIS. It constitutes the infrastructure of Korea's foreign trade sector. Fourth, both Gaisong Merchants and modem companies have commo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ield of management policy and philosophy. Actually, those factors are evaluated to be driving forces of Koera's success in foreign trade. In conclusion, the business activities of Gaisong Merchants who represented the peculiarity of Korean business spirit are partially inherited to current Korean business management. The value system and behavior pattern of modern Korean companies is succeeded from the spirit of Gaisong Merchants and it playa major role to specify the identity of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해외진출을 목적으로 바다를 건넌 인류 최초의 민족인 수메르인과 견줄만한 우리나라의 해외진출 선봉장으로서는 고려시대 때 세계에 그 명성을 떨쳤던 개성상인을 꼽는다. 개성상인은 조선초기에 사무역(私貿易)의 형태에서 조선중기에는 관무역(官貿易)뿐만 아니라 밀무역 등으로 해외진출을 진행했으며, 18세기 이후에는 대(對)중국무역과 대(對)일본무역으로 활발한 무역활동을 펼쳐왔던 거상이다. 국제경제 및 정치의 급격한 변화와 기타 특수한 상황 등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외에 생산, 판매, 연구개발 법인을 설립하거나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 인수합병,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해외진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탁월한 상술과 상혼을 밑거름으로 한 개성상인들의 해외진출과 그 정신을 계승 발전한 현대기업들((주)태평양, 한일시멘트공업(주), (주)신도리코)의 해외진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의 목적은 현대기업이 개성상인의 경영활동을 밑바탕으로 내실있는 기업으로 성장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는데 있다.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들은 모두 마케팅, 생산기술, 연구개발, 인적자원관리/개발 등의 공통된 기능별 경영핵심역량이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둘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국제화를 위한 공통된 조직상의 핵심역량이 존재하여 해외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셋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기획 재무 회계 MIS 등으로 구성되는 공통된 하부조직활동이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경영이념 경영철학 등과 같은 공통된 조직문화가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근본이 되었다. 연구상의 한계점이 있었지만, 사례분석에 의하면 전통적인 한국인의 정서를 대변하는 개성상인들의 상업활동은 현재까지 부분적으로 한국기업경영에서 그 맥락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개성상인의 정신이 계승된 현대기업의 경영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향후 한국적 경영학의 정체성을 찾고,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