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남부 지역의 지역규모와 모멘트규모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ocal Magnitude and Moment Magnitud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초록

2001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모멘트규모를 계산하여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역규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상청의 지역규모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역규모에 비해 모멘트규모와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표된 지역규모와 계산된 모멘트규모의 회귀 분석을 통해 모멘트규모 환산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모멘트규모 환산식은 지진목록의 규모 단일화에 이용될 수 있고 규모가 단일화된 지진목록은 지진활동 특성 분석 지진재해도나 감쇄식 등에 필요한 인자로서 활용될 수 있다

We calculate moment magnitudes of earthquakes occur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4 and compare them with local magnitudes published by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KIGAM(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From this study, we find that local magnitudes of KIGAM have higher correlation with moment magnitudes than local magnitudes of KMA have. We induce a proper conversion formula by analyzing relation between published local magnitudes and calculated moment magnitudes. The induced formula can be used to unify kinds of magnitudes in earthquake catalogues and unified earthquake catalogues can be applied as necessary factors for analyzing earthquake characteristics, seismic hazards or attenuation formul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