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without Serosal Invasion -Final Report-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화학 요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최종보고-

  • Kim Yong Jin (Department of Surgery, Gastrointestinal Division,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
  • Kim Byung Sik (Department of Surgery, Gastrointestinal Division,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
  • Kim Yong Ho (Gangneung Asan Medical Center, Gangneung) ;
  • Yook Jung Hwan (Department of Surgery, Gastrointestinal Division,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
  • Oh Sung Tae (Department of Surgery, Gastrointestinal Division,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
  • Park Kun Choon (Department of Surgery, Gastrointestinal Division,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 김용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김병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김용호 (강릉아산병원 외과) ;
  • 육정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오성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박건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rpose: We reported our preliminary result in 2001. At that time, the follow-up period was too short to evaluate the survival 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without serosal invasion. Therefore, we followed those patients for 66 months to determine the long-term effects of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currence pattern, the survival rate, and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of 135 patients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and calling the patients or their relatives. All enroll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intention-to-treat analysis of efficacy. Results: The follow-up rate was $89.6\%$ (121/135), and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6 months. Among the 135 patients, 4 relapsed in group 1 (5-FU+cisplatin), 7 in group 2 (mitomycin C+oral 5-FU), and 6 in group 3 (oral 5-FU only).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89\%$ in group 1, $84\%$ in group 2, and $82\%$ in group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verall survival rates and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Oral chemotherapeutic agents have an acceptable effect for adjuvant chemotherapy compared with intravenous agent. However, a large-scale,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luding a control group, is needed for an exact evaluation.

목적: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 있어서 수술 후 서로 다른 보조화학요법이 장기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0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만 15개월간 서울 아산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 절제를 시행한 환자 중, 장막침윤이 없는 3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수술 후 병기가 IA인 131예, 장막침윤이 있는 34예, 그리고 치료를 거부한 17예를 제외한 135명(1군: 5-FU+cisplatin 정주, 2군: mitomycin C정주+경구용5-FU, 3군: 경구용 5-FU)의 의무기록 분석과 전화추적을 실시하여 재발양상, 생존율, 및 위암관련 사망률을 각 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21명에서 추적이 가능해 $89.6\%$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재발은 1군 4명, 2군 7명, 그리고 3군 6명 이었으며, 세 군의 전체생존율은 1군 $89\%$, 2군 $84\%$, 그리고 3군은 $82\%$이고, 위암관련 사망환자만을 고려한 질병특이 생존율은 1군 $92\%$, 2군 $86\%$, 그리고 3군은 $88\%$로 나타나 이들 세 군간에 전체생존율 및 질병특이 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생존율: P=0.6875, 질병특이 생존율: P=0.7120). 결론: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보조요법을 시행할 경우 경구용 항암제를 이용한 방법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조요법을 시행치 않는 대조군을 포함한 대단위 무작위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