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Gene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 in Gastric Cancer Patients

위암 환자의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유전자의 발현양상

  • Kim Yong Gil (Departments of Hemato-On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ung Hee (Departments of Hemato-On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Min Kyung (Departments of Hemato-On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ae Lyun (Departments of Hemato-On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yun Myung Sue (Departments of Hemato-On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ang Hun (Departments of General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Hee Sun (Departments of Microb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용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학교실) ;
  • 이경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학교실) ;
  • 김민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학교실) ;
  • 이재련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학교실) ;
  • 현명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학교실) ;
  • 김상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 김희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미생물학교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rpose: Invasion and metastasis in solid tumors require the action of tumor-associated proteases. The serine protease urokinase-type plasminogen (uPA) and receptor (uPAR) appear to have a major function in these processes. Expression of the uPAR is elevated in breast and colon carcinomas, and this is often associated with invasiveness and poor pro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uPAR gene correlates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in human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uPAR mRNA by using northern blot analysis and RT-PCR in 35 gastric carcinomas and the surrounding normal mucosa. Macr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tumor findings and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 records and from endoscopic, surgical, and pathological reports. Results: The expression of uPAR and was higher in most neoplasms than in the corresponding normal mucosal tissue. uPAR mRNA expression in tumors correlated well with lymph-node metastasis (P<0.02) and tumor stage (P<0.01).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tumors displaying high uPAR expression levels was significantly lower (P<0.04)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uPAR expression, but IL-8 showed only the tendency of survival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PAR may be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human gastric carcinomas.

목적: 고형암이 주위조직으로의 침윤과 타장기로의 전이에는 단백분해효소의 활동이 필요하다. Urokinase 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는 serine proteinase의 하나로 세포주의 단백분해와 혈관형성에 중요한 물질로서 고형암의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uPA는 유방암, 폐암, 방광암, 위암, 직장결장암, 난소암, 및 연조직 육종에서 중요한 예후지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위암 조직과 정상 점막에서 uPAR유전자의 발현양상에 대해서 조사하고 기존에 알려진 예후인자와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중요한 분자학적 치료 target으로의 역할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 이후 위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혹은 고식적 위장절제술을 시행한 위암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orthern blot analysis와 RT-PCR을 통해 uPAR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RNA추출을 위한 재료는 위장절제술 직후 종양조직과 동결절편 생검상 종양세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부위의 정상 위암 조직을 동일 환자로부터 추출하였다. 이들 환자의 육안적 소견, 조직학적 소견, 생존율 등은 내시경과 수술보고서 병리보고서, 병록지 등을 참고하였다. 결과: uPAR mRNA의 expression과 환자의 예후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서, gene expression과 이미 확립된 clinicopathologic prognostic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factor를 중에서 uPAR mRNA expression은 림프절 전이 여부 (P=0.03), TNM stage (P=0.01)와는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였으며, 나이나 성별, 종양크기, histologic type, Lauren classification, Ming classification, serosa invasion, vascular invasion, lymphatic vessel invasion, Neural invasion, omental invasion, macroscopic type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종양 세포에서 uPAR를 평가하는 것은 위암의 예후 뿐만 아니라 질병의 재발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