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redicting the arch length discrepancy by simply comparing the available arch perimeter with tooth materials is merely a 2-dimensional analysis of the teeth movement. However, the real teeth movement takes place 3-dimensionally and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rch fen the curve of Spee and the axis of the inci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rease in the arch perimeter and the horizontal positional change of the incisors after extraction of the 1st bicuspids, for more analytic evaluation of the arch length discrepancy at pre-treatment model analysis stage. In addition to tha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urve of Spee, teeth axis to the basal plane, and the incisional crowding to the treatment outcome. All patients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dental hospital, Yonsei university. Inclusion criteria for patients selection were as follows. $\cdot$ Angle classification I malocclusion with bialveolar protrusion $\cdot$ Extraction of 4 1st bicuspids $\cdot$ No tooth anomaly or prosthesis $\cdot$ No abnormal attrition $\cdot$ No ectopically erupted teeth $\cdot$ Angle classification I canine and molar relationship $\cdot$ Less than 3mm of crowding Model analysis of the above patients was perform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When the intercanine distance was maintained, the available space for the dist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fter the extraction of the 4 1st bicuspids was larger than the space provided by the extraction of the 4 1st bicuspids. However the difference was less than 1mm. The more tapered the anterior arch form, the larger the difference. 2. Compared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rcanine distance was maintained, when the intercanine distance was expanded to meet the width of the Posterior teeth, the incisors could move about 3mm more distally. 3. The positional difference of the incisal tip was insignificant whether the central incisors were moved by tipping or bodily movement. 4. When the anterior crowding was solved without changing the intercanine distance, the larger the anterior arch length was, the more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incisors. 5. When the curve of Spee was levelled, the increase in the arch perimeter was less than half of the deepest curve of Spee.
치열궁내의 공간 부조화를 단순히 가용 arch perimeter에 대한 tooth material의 총합의 차이만으로 예측하는 것은 치아의 이동을 단지 평면적으로만 해석한 것인 반면, 실제로 치아는 치료에 의해 3차원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치열궁 형태와 curve of Spee의 정도 그리고 치축 각도와 경사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교정환자의 치료전 모형분석시 치열궁내 공간 부조화를 보다 분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 발치 후 arch perimeter의 감소와 전치부의 전후방적인 이동량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curve of Spee와 기저골내 기준평면에 대한 전치부의 치축 각도 그리고 전치부 총생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 중 Angle씨 제 I급 부정교합이며 4개의 제 1소구치를 발거한 양악 전돌자로서 치아에 형태학적 변이 및 보철물을 갖지 않은 자, 치아수에 이상이 없는 자, 교모나 이소맹출치를 갖지 않은 자, 견치 및 대구치가 Angle씨 제 I급 교합관계를 가지며 3m이상의 치아밀집을 갖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경우, 제 1소구치 발거 후 하악 중절치가 후방이동 될 수 있는 공간의 양은 소구치 발거 공간의 크기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1mm보다 작았다. 이때 치열궁의 형태가 전방으로 좁아질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2. 견치간 폭경이 구치부의 폭경에 일치되게 확장될 경우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때보다 3mm내외의 중절치의 후방이 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절치의 후방이동시 치체이동과 경사이동에서 가능한 절연의 전후방적인 차이가 미세하게 나타났다. 4. 견치간 폭경을 유지하면서 전치부 분절내 총생을 해소할 경우, 처음의 전치부 분절의 장경이 클수록 중절치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하였다. 5. Curve of Spee를 leveling할 경우, arch perimeter의 증가량은 Curve of Spee의 최대 길이의 1/2보다 적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