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분석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Classification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by Chemical Compositions and Magnetic Properties

  • 조남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박용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도성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남인탁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Cho, Nam-Chul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Yong-Hee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Doh, Seong-Jae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Kang, Hyung-Tae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National Museum of Korea) ;
  • Nam, In-Tak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1.01

초록

우리나라 구석기 및 신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 그리고 백두산과 일본 Kyushu지방에서 입수된 흑요석 원석 등 총 64점에 대하여 주요성분, 미량성분 및 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산지별로 분류하였다. 주요성분 중 $Al_2O_3,\;CaO,\;Na_2O+K_2O$의 농도값을 사용하여 흑요석을 분류한 결과 대부분의 흑요석이 Subalkaline 계열이었다. 또한 흑요석을 주요성분 및 미량성분 함량을 사용한 통계적 분류 결과 세 개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그룹간의 상관관계가 없으며 산지가 다름을 의미한다. 자기적 특성을 이용한 산지분류에서는 각 지역별로 정확하게 그룹을 이루지 않았으나, 대자율과 포화등온잔류자화의 이 변량분석에서는 주요성분 및 미량성분을 이용한 산지분류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ixty four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r has been carried out using major elements, minor elements and magnetic properties. Most of obsidian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subalkaline series based on the contents of $Al_2O_3,\;CaO,\;and\;Na_2O+K_2O$ in samples. Provenance & obsidia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groups using major elements and minor elements analys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whose provenances are different. Although the magnetic properties of obsidians do not yield clear groupings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site, the bivariate plot for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saturation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shows a rough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major and minor elements analy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