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Frames of Korean Newspapers: Women in Crime News

한국 언론의 젠더 프레임: 범죄뉴스와 여성

  • 김훈순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Published : 2004.11.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scourse of Korean newspapers. For this, the study analyzes the frames of frames of crime news on Chosun Daily and Hangyurae Newspaper for 2 years.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KINDS, and include 265 crime articles involving wom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episodic frames are used in the most of crime news. The five frame devices are founded in the episodic frame articles; the male subjectivity and the female objectivity, the male-oriented perspectives which reporters have, the abused sexual details and sensationalism, the emphasis of women body's fragility which imply woman's unavoidability as victims, and finally, blaming women who are victims of crimes. And in the articles of thematic frames, the similar frame devices are found. In particular, they only emphasize the problem of crime and fail to suggest a concrete resolu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findings relating to the patriarchal news making convention and the commercialism of newspaper industry. The two newspapers have been pursuing quite different political lines in Korean society.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Hangyurae newspaper is progressive and Chosun Daily is conservative.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way dealt with women in the crime news are not different. It is concluded that Korean newspapers still produce the gender discourse based on male-centric perspective and patriarchal ideology.

이 연구는 한국 언론의 젠더담론을 살펴보기 위해 ${\ll}$조선일보${\gg}$ ${\ll}$한겨레신문${\gg}$을 사회면에 실린 여성관련 범죄뉴스의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스트레이트 기사형식을 선호하는 사회면의 범죄기사는 대부분 일화 중심적 뉴스 프레임을 취하고 있었다. 일화 중심 프레임의 기사들이 피해 여성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프레이밍 기제들은 가해자 중심의 서술 및 여성 피해자의 타자화, 남성필자의 가부장적인 시선, 선정적 묘사, 여성의 신체적 취약성과 수동성 강조, 피해자 여성 비난하기 등이었다. 주제 중심적 프레임 기사의 특성은 선정성 부각과 함께 사회구조 탓하기와 구체적 대안의 부재로 분석되었다. 후속보도가 이어진 하양피살사건에 대한 사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사건의 내용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발생 초기에 설정된 흥미위주의 여성에 대한 선정적 프레임은 지속되었으며, 이는 한국언론의 내재된 여성관을 확인시켜주는 대표적 사례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정성을 강조하는 언론의 상업주의적인 태도와 경직된 취재보도체제에 비롯되며, 특히 남성편향적인 프레임들은 경찰발표를 그대로 받아쓰는 관행적인 뉴스제작 관습과, 남성기자와 남성적인 뉴스조직의 가치판단에 의해서 형성된다. 두 신문은 정치적 노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다루는 방식에서 여성문제에 대한 무관심을 드러내는 동시에 가부장적인 여성관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사회의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담론 모두가 남성적 담론으로서 여성은 담론상의 위치에서 사회적 약자로서 소외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