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Delay Analysis Methods in the Construction Projects

건설공사 공기지연 분석방법의 사례연구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When we consider the present state of construction delay claim analysis, the delay analysis methods generally used from the abroad construction industries are not applied to our industry. By reviewing the existing methods of delay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t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lay analysis methods. Selection of the delay analysis methods could be decided among 1)As-planned versus as-built comparison method,2)What-if method,3)But-for method.4)CPA method, and 5)DAMUDS method. In order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th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a case study.

본 연구는 국내 건설공사의 공기지연 클레임과 관련된 공기지연 분석실태와 해외 건설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기지연 분석실태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공기지연 클레임 분석방법을 비교하여 볼 경우, 해외에서 일반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공기지연 분석방법이 국내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공기지연 분석방법 관련 문헌 및 연구자료를 조사하여 공기지 연 분석방법의 주요개념 및 특성을 정리하였다. 주요한 분석방법으로는 계획대비실적 비교방법, What-if방법, But-for방법, CPA방법, 그리고 DAMUDS방법 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주요한 공기지연 분석방법들의 적용방법의 특성 및 절차를 명확히 제시하기 위하여, 발생한 공기지연에 대한분석방법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재. (2004). 건설공사 공기지연에 대한 책임일수 분석 방법. 아주대 박사학위논문
  2. 김영재, 김경래 외 1인. (2003). Delay Section 개념활용을 통한 공기지연 클레임의 지연주체별 지연일수 분석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 서울지방법원 건설소송설무연구회. (2002). 건설감점 세미나 자료집. 서울지방법원
  4. 이재섭. (1998). 건설공사 공기지연일수로 인한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5. Budshait, A. A., and Cunningham, M. J, (1998). Comparison of Delay Analysis Methodologies. J. Constr. Engrg. and Mgmt
  6. Department of the Army. (1979). Office of the Chief of Engineering' Modification Impact Evaluation Guide
  7. Stumpf, G. R. (2000). Schedule Delay Analysis. Cost Engineering, 42(7),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