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IDOCRANIAL DYSPLASIA : CASE REPORT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증례 보고

  • Park, Young-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영옥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은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Cleidocranial dysplasia(CCD) is a congenital disorder of skeletal and dental abnormality, which is mesodermal dysfunction influencing many tissues and organs. Skeletal abnormalities in CCD are delayed closure of cranial suture and fontanelle, presence of wormian bone and clavicle aplasia. And CCD has an effect on the long bones, phalanges, spine, pelvis, muscles, and central nervous system. Dental manifestations include retention of deciduous teeth,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delayed or absent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nd formation of cysts around nonerupted teeth. But as a result in common with a lack of medical and physical disability patient may have no substantive complaint, there are many masticatory and psychological problem by absent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fter exfoliation of deciduous teeth. For this reason CCD is necessary fo early diagnosis and must be improvement of the patient's appearance as well as provision of a functioning masticatory mechanism by treatment of surgical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followed orthodontically eruption of the natural permanent teeth at adequate time.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골격과 치아 이상을 동반하는 선천성 질환으로서 다수의 조직과 장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배엽성 기능장애이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에서 일반적인 골격 결함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wormian bone, clavicle aplasia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장골, 지골, 척추, 골반 등의 전체 골격 뿐 아니라 근육, 중앙 신경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강내 특징으로 유치의 만기잔존, 다수의 과잉치, 미맹출된 영구치, 낭 형성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경우 정신적 및 신체적으로 특별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스스로 질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의 결과유치 탈락 후 영구치의 미맹출로 인하여 저작 및 심리적인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조기진단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에 과잉치 제거 및 영구치 맹출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하여 저작기능의 회복 뿐 아니라 환자의 안모도 개선시킬 수 있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