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맹출장애를 보이는 상악 전치의 맹출유도

  • Sim, J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Eum, Jong-Hye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심정호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음종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2.28

Abstract

Unerupted maxillary anterior teeth is not a common case, However it may present practitioners with management problem. The cause of impaction is considered to be multifactorial, and local cause is the most common. These impacted teeth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removal, transplantation, or surgical exposure, with or without orthodontic traction to align the malpositioned tooth. The preferred option is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correction. Surgical intervention and orthodontic correction should not be delayed to avoid unnecessary difficulties in aligning the tooth in the arch. Surgical exposure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intent of providing sufficient attached gingiva rather than simply uncovering the crown, which results in only alveolar mucosal attachment. Attached gingiva is essential to secure the gingival tissues to the adjacent teeth at the dentogingival junction. Thus preventing loss of periodontal tissues as a result of the pull of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and facial muscles. Labially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uncovered with an apically positioned flap technique have more un- esthetic sequelae than those uncovered with a closed-eruption technique. In the case of severly displaced impacted teeth, autotransplantation ensures preserv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will facilitate future placement of an osseointegrated implant once growth has ceased or if ankylosis/resorption of the transplant occurs.

상악 전치의 맹출장애는 임상적으로 비교적 흔한 치열발육 이상으로 환자측에서 인지하기 쉬우며 심미적, 사회 심리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맹출장애의 치료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공간 확보, 치은 절제술을 포함한 단순 노출, 교정적 견인,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의 병행, 발거 후 자가치아이식 등 여러 방법이 있다. 이 중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의 내과적, 치과적 병력을 고려해야 하고 치아의 위치, 상태, 치근 형성정토 및 만곡여부, 맹출을 위한 공간 확보 여부, 주위 치조골 및 치주조직의 상태, 견인 방법, 이동에 소요되는 기간 등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는 상악 전치부의 맹출장애를 보이는 두 증례를 치험한 바, 첫 번째 증례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이소맹출과 우측 견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서, 견치를 노출시킨 후 견인을 시행하였으며 현재 우측 중절치를 배열중이다. 두 번째 증례는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서, 상악 좌측 중절치를 발거 한 후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하였다. 위 증례를 통해서 치아의 맹출력을 기대할 수 없거나 맹출방향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외과적 노출과 견인을 동반한 방법을 우선 적용할 수 있으나, 치아의 위치 이상이 심각하거나 치근의 위치가 과도하게 이탈된 경우에는 자가치아이식을 포함한 외과적 술식이 맹출유도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