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R AND CHEMICAL DEGRADATION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심미수복 재료의 마모와 화학적 분해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Hun-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Seon-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wang-Ju Health College)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김훈주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김선미 (광주보건대학 치위생과)
  • Published : 2004.05.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and to compare the w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our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Charmfil, Charmfil flow(composite resin), Compoglass F and PrimaFlow(compom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ss lo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materials(p>0.05).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Compoglass F, PrimaFlow, Charmfil, and Charmfil f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oglass F and the others(p<0.05). 3. The sequence of the Si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Charmfil flow, Charmfil, PrimaFlow, and Compoglass 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materials(p<0.05). 4. When observed with SEM, destruction of bonding between matrix and filler was observed and when observed with CLSM, the depth of degradation layer of specimen surface was observed. 5. The sequence of maximum wea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Comfoglass, PrimaFlow Charmal, and Charmfil f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materials(p<0.05). 6.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i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r=0.602, p<0.05) Vicker's hardness number and maximum wear depth (r=0.501, p<0.05) were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ar and hydrolytic degradation may be considered to be evaluation factors of composite resins and compomers.

수복재료의 요건으로서 치아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적합성과 구강내 환경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들 수 있다. 불소 방출의 장점을 갖는 컴포머나 시술시간을 줄이는데 유리한 재료인 유동성 복합레진을 유구치부에 사용하려고 할 때 마모저항성과 구강내 환경에서의 분해저항성은 중요한 물성 중 하나이다. 실험에 사용된 복합레진은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Charmfil(Dentist, Korea)과 유동성인 Charmfil flow(Denkist, Korea)이고, 컴포머는 Compoglass F(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와 유동성인 PrimaFlow(DMG Hamburg, Germany)이었다.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과 마모도를 평가하고자 마모시험 후 마모된 면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알칼리성 용액에 보관 시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무게손실, 표면하 분해층 깊이, 용출된 Si 농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분해층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게손실량은 각 제품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분해층 깊이는 Compoglass F가 가장 깊었고, PrimaFlow, Charmfil, Charmfil flow 순이었고 Compoglass F와 다른 제품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Si 용출량은 Charmfil flow가 가장 많았고, Compoglass F가 가장 작았으며 두 제품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표면 양상 및 분해층 깊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 관찰시 NaOH용액에 보관한 후 수복재의 기질과 충전제 사이의 결합의 파괴 양상인 분해층 질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5. 마모는 Compoglass F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PrimaFlow, Charmfil, Charmfil flow 순이었고 각 제품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각 제품의 Si 용출량과 분해층 깊이 사이(r=0.602, p<0.05), 마모 최대 깊이와 비커스 경도 사이(r=0.501, p<0.05)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Si 용출량과 마모 최대 깊이 등 다른 항목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52, p>0.05). 본 연구에서 Compoglass F는 불소함량은 가장 높았으나 화학적 분해층과 마모질이가 가장 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flowable type의 복합레진과 컴포머는 표면 경도와 마모도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평가요소로서 마모도와 함께 가수분해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