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ATERALLY PRIMARY FIRST MOLARS WITH SINGLE ROOT

단일 치근을 가진 하악 제1유구치

  • Yoon, Sang-I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Kim, Sung-Oh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Lee, Jae-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Son, Heung-Ky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oi, Hyung-J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윤상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김성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손흥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최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4.11.30

Abstract

In this case, we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single rooted deciduous mandibular first molar. The deciduous mandibular molar of a five years old boy was shown to have a single root, bilaterally. Ordinarily, the maxilary molars have three roots and the mandibular molars have two roots. However, when the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do not invaginate properly during tooth development, root fusion can occur from the absence of root separation. Molars with fused roots not only have unfavorable crown to root ratio, but also according to many reports, have higher probability of having multiple congenitally missing teeth or dens invaginatus in the maxillary incisors, consequently requiring preventive dental treatment In addition, disorders such as ectodermal dysplasia, syndactyly, clinodactyly, bluish sclera can also be related to this condition. Root fusion is known to be of autosomal recessive inheritance. Up to date, single rooted molars have been reported several times in permanent dentitions but hardly in deciduous dentition, which is the motive for this paper.

본 증례에서는 단일 치근을 가진 하악 제 1유구치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5세 남아의 하악 제1유구치는 방사선 사진 검사결과 양측성으로 분명한 단일치근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상악 구치는 3개의 치근을, 하악 구치는 2개의 치근을 가지나, 치아의 발육시기도중 Hertwig상피근초가 제 시기에 적절히 함입되지 못하면 치근이 서로 나뉘지 못하여 치근의 융합이 발생될 수 있다. 융합된 치근을 가진 구치는 정상적인 구치보다 불리한 치관-치근 비율을 가질 뿐 아니라, 여러 보고에 의하면 융합된 치근을 가진 사람은 다수 치아의 선천적 결손이나, 상악 전치에서 치내치가 발현될 확률이 높아 예방적 치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외배엽이형성증, 합지증, 만지증, 청색공막증과 같은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한다. 치근 융합은 유전적으로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따른다고 밝혀진 바 있다. 현재까지 단일 치근을 가진 구치는 대부분 영구 구치에서 많이 보고된 바 있지만, 유구치에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