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HEAVY MANDIBULAR BUCCAL FRENUM USING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IN CHILD

치아 교환기 어린이에서 근단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이용한 하악 거대 협소대의 처치

  • Lee, Sung-Ryong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Oh, You-Hyang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이성룡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오유향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1.30

Abstract

The mandibular buccal frenum becomes a problem when its attachment is too close to the marginal gingival. Heavy buccal frenum mucogingivally results in insufficient attached gingiva, inadequate vestibular depth and also difficulty in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as adequate method in order to remove heavy buccal frenum and expose impacted teeth. The author presents the case of a 12-year-old boy. He had problems that was prolonged eruption of #34, #35 due to high pull buccal frenum. After space regaining for normal eruption of #34, #35, we performed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on #34, 35 area. As a results, we confirmed that eruption of #34, #35 has been processed normally And vestibular depth, position of buccal frenum and width of attached gingival was within a normal range. Decrease in muscle pull, adequate width of attached gingiva and increased vestibular depth can be expected from this treatment.

영구치의 맹출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유치의 만기 잔존과 조기 상실, 과잉치나 치아종과 같은 이형물의 존재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경조직 인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치은 판개 조직(opercula)과 같은 상부 치은 조직의 섬유성 비후나 소대의 과증식과 같은 연조직성 인자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영구치의 맹출지연시의 공간의 상실 및 영구치의 비정상적인 맹출 그리고 그에 따른 치열궁의 비대칭과 같은 교정적 문제와 대합치의 정출 등에 의한 교합적인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진단하여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12세 남자아이가 충치가 많고 치아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한 결과, 하악 좌측 소구치들이 맹출하지 못하고 매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인은 맹출 공간이 부족하였고 동시에 거대 협소대가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처치로 우선 공간을 획득하고 난 후, 부착치은의 회복과 맹출 촉진을 위해 근단 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시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