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wo Cases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olopendrid Herbal-Acupuncture

오공약침(蜈蚣藥鍼)의 항염증 효과 치험 2례

  • Won, Jae-Kyu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Yoon-K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Han, Sang-Wo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Seo, Jung-Chul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원재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윤경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한상원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서정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olopendrid Herbal-Acupuncture. Methods : Scolopendrid Herbal-Acupuncture was administered one time on everyday and A-shi points were selected. Except Scolopendrid Herbal-Acupuncture administration, other therapies(conventional body acupuncture, physical therapy and so on) were not performed at all. We evaluated the patient through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DITI). Results : After 2 or 3 times of treatment, the patient showed that clinical symptoms and VAS were lessened and there was a change of temperature in DITI.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s, Scolopendrid Herbal-Acupuncture may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rove the exact effect.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시술서. 서울 : 대한약침학회, 2000 : 13-62.
  2. 全國韓醫科大學 鍼灸經穴學敎室. 鍼灸學(下). 서울 : 集文堂. 1998: 1457-67.
  3. 고강훈, 박소영, 최희강, 소기숙, 황우준, 이건목, 김성철. 오공약침을 이용한 요추간판탈출증 치료의 임상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4(3):247-57.
  4. 최희강, 소기숙, 고강훈, 박 영, 김성남, 이종덕, 원경숙, 문형철, 김성철. 추적조사를 중심으로 한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오공약침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3): 238-52.
  5. 金先熙, 徐富一, 李暎鍾, 李棣熙, 安德均, 李尙仁, 徐榮培 등. 本草學.. 서울 : 永林社. 1998 : 508.
  6. 김성남, 김성철, 최희강, 소기숙, 임정아, 황우준, 문형철, 최성용, 이상관, 나창수. 環跳穴 蜈蚣藥鍼 刺戟이 白鼠의 神經病理性 痛症 抑制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145-67.
  7. 고강훈, 박소영, 최희강, 소기숙, 황우준, 이건목, 김성철. 蜈蚣藥鍼을 이용한 腰椎間板脫出症 治療의 臨床的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3): 192-206.
  8. 진재도, 한무규, 이정훈, 이승우, 한상원. 적외선 체열촬영을 이용한 요통환자이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4) : 25.
  9. 대한통증의학회. 통증의학. 서울 : 군자출판사. 1997: 27-8.
  10. 소기숙, 최희강, 박소영, 고강훈, 김성남, 이옥자, 윤민영, 문형철, 김성철, 이정훈, 나원경. 오공약침의 안정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146.
  11. 時逸人 編著. 中國藥物學. 台聯 : 台聯國風出版社, 1983 :404-5.
  12. 吳普. 神農本草經(3권). 서울 : 醫道韓國社. 1987 : 28
  13. 李時珍. 本草綱目(下).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82 : 2345-49.
  14. 김창민, 신민교, 이경순, 안덕균. 중약대사전. 서울 : 정담. 1998 : 3919-23.
  15. 이상인. 본초학. 서울 : 수서원. 1975 : 239-40.
  16. 장은엄, 섭천사, 진수원. 본초삼가합주. 서울 : 의도한국사; 1976 :13
  17. 박소영, 고강훈, 소기숙, 최회강, 오희홍, 김일두, 박상준, 안수기, 김성철. 오공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약침학회지. 2002 ; 5(1): 55-6
  18. 常志行. 解放軍醫學雜誌. 1987 ; 12(5) : 372.
  19. 김성남, 김성철, 최희강, 소기숙, 임정아, 황우준, 문형철, 최성용, 이상관, 나창수. 環跳穴 蜈蚣藥鍼 刺戟이 白鼠의 神經病理性 痛症 抑制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145-67.
  20. 정병태,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오공수침이 진통 및 진경 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7 ; 14(2) : 219-30.
  21. 홍남두. 오공의 약물학적 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76 : 1-13
  22. 김종희. 오공의 진통, 소염, 진경 및 독성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전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1 : 1-22
  23. 전재국. 족저근막염에 대한 근막이완술 적용 사례연구: 증례보고 4.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3;9(2):93–94.
  24. 서구일, 박향준, 조광현, 윤재일, 이유신. 봉소염의 임상적 고찰. 대한피부과학회지. 1992 ; 30(5) : 616.
  25. 강원형. 피부질환 아틀라스. 서울 : 한미의학. 2003 : 341.
  26. 지선영. 동의피부과학. 대구 : 一中社. 1996 : 225-7.
  27. Insel PA. Analgesic-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d drugs employed in the treatment of gout. In: Hardman JG, et al.,.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USA: McGraw-Hill. 1996 ; 617-24.

Cited by

  1.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nd the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tudies on Scolopendrid Herbal Acupuncture vol.9, pp.2, 2006, https://doi.org/10.3831/KPI.2006.9.2.113
  2. The Effect of the Bujeonghangam-tang Extract on Hepatocellular Carcinogenesis and Hepatic Cirrhosis Induced by Diethylnitrosarnine and CCl4in Rats vol.13, pp.2, 2010, https://doi.org/10.3831/KPI.2010.13.2.013
  3. Single Dose Toxicity of Chukyu (spine-healing) Pharmacopuncture Injection in the Muscle of Rats vol.17, pp.1, 2014, https://doi.org/10.3831/KPI.2014.17.005
  4. Two Case Report on Wrist Ganglion Treated with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vol.13, pp.2, 2010, https://doi.org/10.3831/KPI.2010.13.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