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H$ ] MR Spectroscopy of the Normal Human Brains: Comparison between Signa and Echospeed 1.5 T System

정상 뇌의 수소 자기공명분광 소견: 1.5 T Signa와 Echospeed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의 비교

  • Kang Young Hye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
  • Lee Yoon Mi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
  • Park Sun Won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
  • Suh Chang Hae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
  • Lim Myung Kwan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 강영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 이윤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 박선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 서창해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 임명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reproducibility of $^1H$ MRS in different 1.5 T MR machines with different coils to compare the SNR, scan time and the spectral patterns in different brain regions in normal volunteers. Materials and Methods : Localized $^1H$ MR spectroscopy ($^1H$ MRS) was performed in a total of 10 normal volunteers (age; 20-45 years) with spectral parameters adjusted by the autoprescan routine (PROBE package). In all volunteers, MRS was performed in a three times using conventional MRS (Signa Horizon) with 1 channel coil and upgraded MRS (Echospeed plus with EXCITE) with both 1 channel and 8 channel coil. Using these three different machines and coils, SNRs of the spectra in both phantom and volunteers and (pre)scan time of MRS were compared. Two regions of the human brain (basal ganglia and deep white matter) were examined and relative metabolite ratios (NAA/Cr, Cho/Cr, and mI/Cr ratios) were measured in all volunteers. For all spectra, a STEAM localization sequence with three-pulse CHESS $H_2O$ suppression was used, with the following acquisition parameters: TR=3.0/2.0 sec, TE=30 msec, TM=13.7 msec, SW=2500 Hz, SI=2048 pts, AVG : 64/128, and NEX=2/8 (Signa/Echospeed). Results : The SNR was about over $30\%$ higher in Echospeed machine and time for prescan and scan was almost same in different machines and coils. Reliable spectra were obtained on both MRS system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ctral patterns and relative metabolite ratios in two brain regions (p>0.05). Conclusion : Both conventional and new MRI systems are highly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1H$ MR spectroscopic examinations in human brains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lications for $^1H$ MRS between two different MRI systems.

목적: 정상인 뇌에서 측정한 신호대잡음비율, 주사 시간, 그리고 대사물질의 상대 비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1.5T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의 수소자기공명분광법의 유용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0명의 정상인 (20-45세)에서 PROBE (PROton Brain Exam) 라는 자동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소 자기공명분광술을 시행하였다. 수소 자기공명분광술은 1 channel 코일의 기존의 자기공명영상기기(Signa Horizon)와 1 channel 및8 channel 코일을 이용한 다른 자기공명영상기기(Echospeed plus with EXCITE)에서 3번씩 시행하였다. 각각 방법에서 팬톰과 생체에서의 스펙트럼의 신호 대 잡음비와 주사 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정상인에서 뇌의 2 부분, 즉 기저핵과 심부백질 부위를 위의 방법으로 각각 검사하였고 각 부위에서 대사물질의 상대적인 비율의 차이(NAA/Cr, Cho/Cr, mI/Cr)를 측정하였다. 모든 스펙트럼에서 STEAM(Stimulated Echo Acquisition Method)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절치로 검사하였다: TR=3.0/2.0 sec, TE=30 msec, TM=13.7 msec, SW=2500 Hz, SI=2048 pts, AVG=64/128, NEX=2/8 (Signa/Echospeed). 결과 : 신호대잡음비율은 Echo speed 기계에서 약 $30\%$이상 더 높았고 주사 시간은 거의 같았다. 각각의 방법에서 모두에서 믿을만한 스펙트럼을 얻었고 정상 뇌의 2부분에서 얻은 스펙트럼 모양과 대사물질의 상대적인 비율의 차이는 서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결론: 새로운 자기공명영상기기와 코일을 이용한 수소자기공명분광소견은 매우 믿을만 하였고 높은 신뢰성과 재현도를 보였으며 기존의 자기공명영상기기의 수소자기공명분광소견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C의 높은 T2 자기이완율은 T2 강조영상에서의 정상 간실질의 신호강도를 감소시켜 간실질과 VX2 암종의 구분을 쉽게 하였다. MnPC 주입시 T1 강조영상에서는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의 주입시보다 종양의 경계가 명확하였고, 조영증강은 주입후 최소한시간 이상 높게 유지되었다. 결론 : MnPC가 간세포로 흡수되어 담관으로 배설된다는 사실은 Mn-DPDP와 유사한 특성이며 이는 MnPC가 새로운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MnPC의 R2값이 기존의 조영제에 비해 매우 크다는 사실은 T1 조영제로서 뿐만 아니라 T2 조영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들을 좀더 정확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생체 내 그리고 시험관내 연구가 더 필요하며 다른 동물모델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유발 가능자를 1차 적으로 선별 할 수 있는 지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대상자 선정이 어려워서 자원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둘째. 적은 수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셋째. 연구기간이 짧았던 까닭에 좀더 상세한 사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선정된, 많은 연구 대상자를 가지고, 심도 있는 연구가 추후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에서 벗어나 동기와 동반자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령과 목적에 따라 세분화되는 분명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지난 10여 년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음식과 레스토랑 업태 등은 우리나라의 외식문화 발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선택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