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A REVIEW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

한국 소아 ${\cdot}$ 청소년정신의학 - 과거 ${\cdot}$ 현재 ${\cdot}$ 미래 -

  • Hong, Kang-E (Depar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Objectives:To review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to propose the future tasks at this 20th anniversary of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ethods:Records and publications of Korean Academy, personal communications with senior members of the Academy, the author's recollections and memoirs. Results:Korean Child Psychiatry started with opening Child Psychiatry Clin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1979 and establishing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t the same hospital in 1980. A Child Psychiatry Study Group was formed in 1983 and it transformed into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1986. In the past 20 years,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ade an impressive progress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as well as to the establishment of child mental health service. There are 77 board-certified and 48 board-eligible child psychiatrists, and 18 child psychiatry fellows are in training as of 2003. Main forces of this successful introduction of child psychiatry are 1) 7 child psychiatry training centers at major university hospitals, 2) publication of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1990, 3) the establishment child psychiatry board certification system in 1996. Korean child psychiatry has extended its role in the international child psychiatry and took leadership in establishing Asian Societ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Allied Professions(ASCAPAP). Conclusion:Korean child psychiatry has achieved a remarkable progress for the past 20 years and is currently producing 15 or more child psychiatry each year. However, there are needs of more active involvements in adolescent problems, more active consultation-liaison services at general hospitals as well as community mental health institutions. More school consultation and preventive educational services are desired. There is a urgent need of carrying out more empirical studies with strong scientific rigor. Korean Academy should pay attention and provide as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child psychiatry service in other countries in Asia.

연구목적: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아 한국 소아청소년정신의학의 발전 과정(과거)을 돌아보고, 현재의 상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과 주요과제를 살펴 보고자함. 연구방법:학회기록, 관련논문, 원로들과의 개인통신, 저자개인기록과 참여경험을 토대로 함. 결 과:한국소아정신과의 공식출범은 1979년 서울대학교병원외래에 소아정신과클리닉의 개설과, 다음해 동대학병원에 소아정신분과 설립으로 볼 수 있음. 대한소아, 청소년정신의학회는 1983년 한국소아정신의학연구회로 시작하여 1986년 동학회가 공식 창립되었음. 창립후 지난 20년간 학회는 괄목할만한 성장과 발전을 하였는데 그 원동력은 소아청소년정신과 전임의 수련프로그람이 주요대학병원(현재 총 7개)에 생겼고, 1994년부터 한국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발간, 1996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과 수련심사위원회의 발족과 역할수행에서 찾을 수 있음. 현재 한국에 77명의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과전문의와 48명의 부가수련중인 전문의, 18명의 전임의가 수련 중에 있음. 현재 한국소아청소년정신과는 국내적으로는 중흥기를 맞이하고 있고 인접전문분야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음, 국제적으로도 아시아소아청소년학회의 창립과 학술활동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미국 및 국제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등 국제무대로 역할을 확대 중임. 결 론:한국소아청소년정신의학은 지난 20년간 성공적인 발전을 해왔고, 의학계와 일반 사회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그러나 청소년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입, 병원 및 정신질환 관련기관에서의 자문, 연결, 학교자문서비스에 좀더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 급격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변화를 겪었고, 특히 가족체계의 변화와 붕괴현상은 날로 심각해져,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는 증가일로에 있는 것이 분명함으로 앞으로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의 역할은 중차대함. 뿐만 아니라, 우리는 아시아지역 국가들의 낙후된 소아청소년정신과서비스 개발과 발전에도 기여하여야할 사명이 있는 것으로 제안함.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