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Evaluation of Cut Slope in Forest Roads by Forest Environment Factors

산림환경인자에 의한 임도 절토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 Jeon, Kwon-Seok (Chungbu Experiment St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Oh, Sung-Yoon (Division of Forestry, Geochang-gun Office) ;
  • Ma, Ho-Seop (Division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
  • 전권석 (임업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
  • 오성윤 (경남 거창군청 산림녹지과) ;
  • 마호섭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3.07.09
  • Published : 2003.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 to the stability on cut slope of forest roads by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The total of 19 environmental factors on cut slope of forest roads were investigated in about 42.74km constructed during 1987 to 1993 in Gyeongnam and Jeonnam province. The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in forest roads were conducted by the discriment analysis.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tability of cut slope were significant in order of coverage, soil hardness, degree of slope, altitude, silt loam, convex(凸) and compound(凹凸). The centroids value of discriminant function in the stability and unstability area estimated to -1.194 and 1.127, respectively. The boundary value between two groups related to slope stability was -0.072. The prediction rate of discriminant function for stability evaluation of was as high as 90.4%.

임도의 절토비탈면의 각 조사구를 토양침식 및 붕괴발생의 발생 유무에 따라 안정구와 불안정구로 구분하고 절토비탈면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토비탈면에서 발생한 토양침식량은 표고, 상부(사면위치), 볼록사면(凸), 사면경사, 비탈면길이, 사질식양토(SiL), 남쪽(South)사면과는 정의 상관을, 식생피복도, 평형사면(${\square}$), 미사질식양토(SiCL)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절토비탈면의 안정성 판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식생피복도, 토양경도, 사면경사, 표고, 미사질양토, 볼록사면, 복합사면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절토비탈면에서 안정구(2)와 불안정구(1)의 중심값은 각각 -1.194와 1.127로 나타났으며, 이때 판별구분치는 -0.072이었다. 4. 절토비탈면 조사구의 불안정구와 안정구에 대한 판별능력의 적중율은 불안정구는 125개 중 117개가 판별됨으로서 93.6%의 적중율을, 안정구는 117개의 조사구 중 102개를 판별 시켜 87.2%의 적중율을 보였으며 두 그룹의 전체 판별능력은 90.4%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