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of Combined Bronchial Asthma with COPD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ir flow Limitation

중등증 및 중증의 만성 기류 장애 환자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의 합병률

  • Rhee, Yang 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In, Byeong 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Yang D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Yong 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Heung 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이양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병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양덕 (을지의과대학교 내과학교실) ;
  • 이용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흥범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4.30

Abstract

Background : ATS(American Thoracic Society) defined new guidelines for COPD(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in April 2001,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COPD is an airflow limitation which is not fully reversible compared to bronchial asthma(BA). The criteria for COPD are postbronchodilator $FEV_1$ less than 80% of the predicted value and an $FEV_1$ per FVC ratio less than 70%.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GINA) study defined asthma, which included immune-mediated chronic airway inflammatory airway disease, and found that airflow limitation was wide spread, variable and often completely reversible. Taken together COPD and BA may be combined in airflow limit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BA in patients with COPD of moderate to severe airflow limitation. Methods : COPD was diagnosed by symptoms and spirometry according to ATS guidelines. Enrolled subjects were examined for peak flow meters(PFM), sputum eosinophils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levels, serum total IgE with allergy skin prick test, and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MBPT). Results : About 27% of COPD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irflow limitation were combined with BA. The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onse to PFM in severe COP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A and COP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verity. The BA combined with COP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eosinophil counts and ECP level in induced sputum. However, neutrophil counts in induced sputum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pure COPD group. Conclusion : Twenty-seven percent of COPD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ventilation disorder were combined with B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verity.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은 만성 기도 염증과 기류 장애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합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정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 질환의 병태 생리의 차이와 합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의 진단은 미국 흉부학회의 지침서 기준에 의하였고, 대상 환자들에게는 폐기능 검사, 최대호기유속 측정, 속효성 ${\beta}_2$-항진제에 대한 기관지 반응성, methacholine 유발 반응 검사, 객담내 호산구치 및 ECP, 혈청내 총 IgE치,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59명중 남자가 49명, 평균 연령은 66.46세, 흡연자가 42명이었다. 속효성 ${\beta}_2$-항진제에 대한 양성 반응을 보인 경우는 37.3%였으며, 최대 호기유속 측정상 일중 변이성을 보인 경우는 47.5%이었고, 두 가지 검사에 모두 양성을 보인 경우는 27.1%이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이 합병된 환자의 유도객담은 호산구와 ECP농도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기관지 천식이 합병되지 않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유도 객담에서는 중성구의 유의한 상승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중증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최대호기유속의 변화율은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천식의 합병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중등도와 중증의 환기장애를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약 27% 정도에서 기관지 천식이 동반되었으나, 환기장애의 중증도와 기관지 천식의 합병률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