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and Clinical Outcome of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Pneumonia

폐렴구균에 의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페니실린 내성률과 내성에 따른 임상경과에 관한 연구

  • Hong, Ji Hyun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Hyung Seok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Jung, Seung Hyun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Gyu Won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Eom, Kwang-Seok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Jae Myung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Jang, Seung Hun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Dong Gyu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Hyoen, In Gyou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Myoung Koo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Park, Yong Bum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Jung, Ki-Suck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Young Kyoung (Division of Pulmonology,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홍지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형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승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규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엄광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재명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승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현인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명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용범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기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영경
  • Published : 2003.03.30

Abstract

Backgroung : The incidence of penicillin-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PRSP) accounts for almost 70% of all pneumococcal pneumonia cases in Korea. It is still unclear as to whether the efficacy of penicillin or equally active beta-lactam agents is compromised in PRSP pneumon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PRSP i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d its clinical course. Methods : A total of 42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coccal pneumonia were evaluated from July 1999 to May 2001. The cultured strain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were divided into susceptible, intermediately resistant, and resistant strains by an E-test, and the effect of the clinical course was investigated. Results : From a total of 42 patients, 22 (52.4%) patients had an intermediate resistance (MIC $0.1-1{\mu}g/m{\ell}$) and six (14.3%) showed a high resistance ($MIC{\geq}2.0{\mu}g/m{\ell}$) with current penicillin susceptibility categories. Howev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DRSPTWG (Drug 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 Therapeutic Working Group), there were 11 cases (26.2%) of intermediate resistance and no case of high resistance. Under empirical antimicrobial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outcome between the penicillin susceptible and resistant group. Conclusion : The clinical outcome of PRSP pneumonia with empirical therapy was accept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MIC breakpoint for penicillin resistance in Streptococcus pneumoniae has been set at a very low level and penicilli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NCCLS classifica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utcome of the empirical treatment for pneumococcal pneumonia.

연구배경 : 국내에서 검출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 내성률은 약 70%로 알려져 있고, 특히 고도 내성률은 33%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내성 균주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가 실패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내성 여부가 사망률과 무관하다는 반론들도 적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폐렴구균에 의한 지역사회획득폐렴에서 페니실린 내성률을 조사하였고,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이 치료 실패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1년 5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 내원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 환자 중 객담 및 혈액 배양검사를 통해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으로 진단된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양된 폐렴구균에 대해 E-test를 시행하여 MIC에 따라 감수성, 중등도 내성, 고도 내성으로 분류하여 내성률을 조사하였고, 각 군별로 내성여부에 따른 임상경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으로 진단된 42명의 환자 중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MIC{\leq}0.06{\mu}g/m{\ell}$)는 14예(33.3%), 중등도 내성 균주(MIC $0.1-1{\mu}g/m{\ell}$)는 22예(52.4%), 고도 내성($MIC{\geq}2.0{\mu}g/m{\ell}$) 균주는 6예(14.3%)였다. 경험적 항생제 치료에 대해 감수성 균주에 의한 폐렴 군과 내성 균주에 의한 폐렴 군간에 임상경과는 차이가 없었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에서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률은 66.7%로 현재까지의 보고와 큰 차이가 없으나 고도내성의 경우 약 33%로 알려진 것에 비해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14.3%로 낮게 조사되었다. DRSPTWG의 분류에 따른 내성률은 26.2%에 불과했으며, 고도내성에 해당하는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이와 같은 결과는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의 내성을 정의하는 현재의 기준이 지나치게 낮아 항생제 내성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기존의 기준에 의한 내성은 경험적 항생제 치료의 예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