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ological Study of the Planning Method in Open Housing

오픈하우징의 설계방식에 관한 유형체계 연구

  • 모정현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Open housing is an emerging, new concept in housing development that combines demand-orientation with environment-friendliness. Its methodology, however, has not been analyzed in a systematic way. In this study, the features of planning method in open housing were analyzed to systematize types of the planning method. The existing planning methods of open housing was reviewed 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approaches such as pattern, module and organization planning. Given three approaches, the existing planning methods of open housing can be sub-classified as follows; free and patterned planning by patterns, modular and non-modular planning by modules, and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al planning by organizations. The framework for the typological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a composite typological system was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lanning features.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of features in open housing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istics on open housing to provide a basis for the concrete realization method, to analyzing problems with the existing planning methods and to providing their solutions.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암(1993). 공동주택의 가변형주호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은정(2003).. SAR의 개념을 활용한 주택평면 가변화 방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심재경(1993). 소형 아파트의 가변형 내부공간 계획에 관한 연 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9
  4. 이상호(1995). 가변형주호의 MC(건축척도조정)적용수법에 관 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혜원(2003). 평면 패브릭을 이용한 가변형 평면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장승철(1993). SAR방법론을 적용한 아파트 단위평면 계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최영신(1997). 내부공간 변용에 따른 아파트의 가변형 주호계 획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홍재경(1994).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가변형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암 외 3인(1997, 12). 외국 공동주택의 가변형 평면 비교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3 n.12
  10. 모정현, 이연숙(2003.09). 지속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한 가변성 개념의 유형학적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3 No.3
  11. 황은경 외 2인(2003, 04). 공동주택 서포트의 공간변화 대응력 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23 n.1
  12. 김상호(1998, 10). 공동주택의 부품화와 주택부품에 관한 고찰. 건설기술연구원 건설기술정보
  13. 공동주택연구회(1997).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11+44. 서울: 도 서출판 발언
  14. 김수암(1999. 2). 오픈 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한국건설기술연 구원 책임연구과제보고서. 서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5. 김수암(1999.12) 오픈하우징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현황 및 향 후방향
  16. 대한주택공사(2002). 오픈하우징 시스템 개발연구 1. 서울: 대 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7. 대한주택공사(1991). 벽식공동주택 MC(안목치수) 설계지침: 설계표준치수 설정연구. 서울: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8. Habraken, N. J.(1976). Variations: The Systematic Design of Supports. Cambridge: Laboratory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at MIT
  19. Hamdi, N. (1991). Housing without Houses: Participation, Flexibility, Enablement. Van Nostrand Reinhold
  20. Hatch, C. Richard (1984). The Scope of Social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1. Kendall, Stephen (1999, 12). Open Building: An Approach to Sustainable Architecture. Journal of Urban Technology. Vol.6. no.3. pp.1-16. The Society of Urban Technology https://doi.org/10.1080/10630739983551
  22. Kendall, Stephen & Teicher, Jonathan (2000). Residential Open Building. London and New York: E&FN Spon
  23. Pile, John(1978). Open Offiice Planning: a handbook for interior designers and architects New York and London: Whitney Library of Design
  24. Rissel, Barry(1981). Building System, Industrialization and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