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gen Isotope Effects in Hydrogen Storage Alloy for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Hydrogen Isotopes

수소 동위체의 분리농축을 위한 수소저장합금의 수소 동위체 효과

  • 조성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경수소와 중수소를 사용하여 Ti1.0Mn0.9V1.1합금의 경우 313K와 353 K에서, $Ti_{1.0}Cr1.5V_{1.1}$합금의 경우 313 K와 338K에서 각각 수소 동위체 효과를 조사하였다. 합금의 결정구조, 각 상의 존재량, 격자상수 등은 Rietveld method에 의해 결정되었다. 두 합금 모두 용도에 관계 없이 중수소의 흡장량이 경수소에 비하여 많았고, 이들 합금의 수소 동위체 효과는 LaNis 합금에 비하여 대단히 크게 나타났다. 실험 온도 범위에서 $Ti_{1.0}Mn_{0.9}V_{1.1}$합금의 경수소화물은 중수소화물에 비하여 안정하였고, Ti1.0Cr1.5V1.7합금에 있어서는 중수소화물이 더욱 안정하였다. 또한 $Ti_{1.0}Cr_{1.5}V_{1.7}$합금이 $Ti_{1.0}Mn_{0.9}V_{1.1}$합금보다 많은 량의 경수소와 중수소를 흡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W.L. Korst, J.C. Warf, Inorg. Chem. Vol. 5, 1966, p. 1719 https://doi.org/10.1021/ic50044a018
  2. A.D. McQuillan, A.D. Wallbank, J. Chem. Phys. Vol. 51, 1969, p. 1026 https://doi.org/10.1063/1.1672101
  3. F. Ricca, T. Giorgi, J. Phys. Chem. Vol. 74, 1970, p. 143-146 https://doi.org/10.1021/j100696a026
  4. A. Biris, R.V. Bucur, P. Ghete, E. Indrea, D. Lupu, J. Less-Common Metals Vol. 49, 1976, p. 477-482 https://doi.org/10.1016/0022-5088(76)90059-X
  5. R.H. Wiswall, J.J. Reilly, Inorg. Chem. Vol. 11, 1972, p. 1691 https://doi.org/10.1021/ic50113a050
  6. R.M. Haag, F.J. Shipko, J. Amer. Chem. Soc. Vol. 78, 1956, p. 5155 https://doi.org/10.1021/ja01601a005
  7. T. Ueda, Doc. Disser., Faculty of Sci., Osaka Univ., 1995
  8. E. Akiba, H. Iba, Intermetallics Vol. 6, 1998, p. 461-470 https://doi.org/10.1016/S0966-9795(97)00088-5
  9. H. Iba, E. Akiba, J. Alloy and Comp. Vol. 253-254, 1997, p. 21 https://doi.org/10.1016/S0925-8388(96)03072-1
  10. F. Izumi, The Rietveld Method, ed. by R.A. Young,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3, Chap. 13
  11. Y. Osumi, H. Suzuki, A. Kato, K. Oguro, M. Nakane, Nihon Kagaku Kaishi, 1981, p. 1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