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6절의 분류 형질에 관한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 subgenus Vigena Nees of Carex L.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 (성신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조미정 (성신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Oh, Yong Cha (Department of Bi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Jo, Mi Jung (Department of Bi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03.06.02
  • 심사 : 2003.08.19
  • 발행 : 2003.09.28

초록

한국산 사초속(Carex Linn$\acute{e}$)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통보리사초절(sect. Macrocephalae K$\ddot{u}$k.), 나도벌사초절(sect. Gibbae K$\ddot{u}$k.), 겹개구리사초절(sect. Stellulatae Kunth), 충실사초절(sect. Elongatae Kunth)과 타래사초절(sect. Ovales Kunth) 식물 각각 1종과 산사초절(sect. Heleonastes Kunth) 식물 2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총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총포의수,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 정성적 형질(암 수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 줄기의 단면모양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구성요소; 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과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와 털의 유 무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 결과 괭이사초아속에 속하는 6절의 식물 중에는 자웅이주로 암꽃 이삭화서와 수꽃 이삭화서가 다른 개체로 된 통보리사초절과 자웅동주이나 수꽃이 아래부분에 암꽃이 윗부분에 배열되는 양성화 이삭화서로 자웅형이삭(gynecandrus) 형태를 이루는 나도벌사초절, 겹개구리사초절, 충실사초절, 타래사초절, 산사초절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과낭의 가장자리의 날개모양과 부리모양, 과낭 표피의 맥의 유 무,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 무가 괭이사초 아속에 속하는 절과 종을 구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확인 되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 kobomugi, C. gibba, C. echinata. C. remotiuscula. C. maakii. C. curta, and C. loliacea of genus Carex were rexamined. The epidermal patterns of perigynium, achene and leaf were investigated using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a light microscope(LM).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length and width of stem and leaf, sheath, bract, spike, scale, perigynium, beak of perigynium, length of spike peduncl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l complex of leaf, number of bract, shape of stem transection, scale and apex of scale, beak and base of perigynium, achene,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of perigynium, achene, leaf epidermal patterns (fundamental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silica body, subsidiary cell), hair, papillae, prickle present/absent of perigynium and leaf wer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observed seven taxa. Examined six taxa of section Macrocephalae, Gibbae, Stellulatae, Elongatae, Ovales, and Heleonates were disti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of length and width stem, leaf, bract, perigynium, perigynium beak, lenght of spike peduncle, perigynium, and leaf. A key based on data was presented he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참고문헌

  1. Dan, K. and Hoshino, T. 1994. Achene micromorpholoy of 43 taxa of Carex (Cyperaceae)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kayama Univ. of Science No. 20: Pp. 93- 111
  2. Hilu, K. W. 1984. Leaf epidermis of Andropogon sect. Leptogon (Poaccae) in North America. Amer. J. Sic. 18: 301-307
  3. Kukenthal, G. 1909 Cyperaceae-Caricoideae. cited from Reznick. A. A. 1990. Evolution of sedges (Carex. Cyperacaea). Can. J. Bot. 68:1409-1432
  4. Metcalfe, C. R. and M. Gregory. 1964. Comparative anatatomy of Moncocotyledons. some new descriptive terms for Cyperaceae with a discus sion of variations in leaf from noted in the family. Roy. Bot. Gard., Kew. London: 1-13
  5. Ohwi, J. 1936. Cyperaceae Japonicae I. A Synopsis of the Caricodeae of Japan, including the Kuriles. Sahalin, Korea and Formosa. Pp. 224-428
  6. Reznicek, A. A. 1990. Evolution of sedges (Carex. Cyperaceae). Can. J. Hot. 68: 1409-1432
  7. Smith, D. L. and J. S. Faulkner, 1976. The Inflorescence of Carex and related genera. Bot. Rev. 42: 53-81
  8. Toivonen, H. and T. Timonen 1976. Perigynium and achene epidermis in some species of Carex, subgen. Vignea (Cyperaceae), studie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n. Bot. Fenn. 13: 49-59
  9. Lee, Y. N. and Y. C. Oh. 1971. A study of epidermal patterns of the leaf blades in Korean Sedges(2). J.K.R.I.B.L. Vol.7: 41-54
  10. Oh, Y. C. 1987. The SEM and L.M epidermal characters of the leaf blades in Korean sedge taxa ( 1. Carex). Kor. J. Plant Tax. 17: 236-258
  11. 오용자. 1983. 한국산 사초과 식물(제 1권). 성신여대출판부, 서울
  12. __. 1984. 한국산 사초과 식물(제 2권). 성신여대출판부, 서울
  13. __. 1986. 한국산 사초과 식물(제 3권). 성신여대출판부, 서울
  14. __. 장정아. 1989. 한국산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수과와 인편의 표피형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9: 249-272
  15. __. 이창숙. 유경진. 2001a. 한국산 사초속 감둥사초절의 분류학석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31: 223-251
  16. __.__. 2002 식물명정리집(양치류. 단자엽류: 사초과, 곡정초과 ,골풀과, 마과) 성신여대출판부, 서울
  17. __. 이현진. 2001b 한국산 사초속 왕비늘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31: 183-222
  18. 허선영. 1999. 한국산사초속 9분류군의 분류학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