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records of Dr. Tchang-Bok Le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deposited at SNUA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목원 수우(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채집표본을 근간으로 한 이창복교수의 채집기록

  • Chang, Chin-Sung (The Arboretum and Dept. of Forest Resources,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ui (National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eon, Jeong-Ill (Department of Urban Horticulture, Shingu College)
  • 장진성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및 수목원) ;
  • 김휘 (국립수목원 생물표본과) ;
  • 전정일 (신구대학 도시원예과)
  • Received : 2003.10.27
  • Accepted : 2003.11.10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e period from 1946 until his retirement from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a time of research and professional activity on many fronts for Korean Plant Taxonomy. From 1952 to 1984, he travelled south Korea and collected more than 70,000 specimens. Working out of this project, Dr. Lee developed the SNUA herbarium (Herbarium of The Arboret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the best University herbarium in Korea for the modem floristic work. Dr. Lee's first interest rests on his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twig identification in early 1950. Asian deciduous oak taxa have attracted particular focus to him late 1950 and early 1960. Accordingly Dr. Lee has been one of the specialists on systematic study of Asian oak which is a basis of identification in eastern Asia now. Dr. Lee's contributions concerning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 provide a tremendous information after a Japanese taxonomist, T. Nakai did in early 1920 to late 1930 in Korea. During his fourteen year career from 1970 to 1984, Dr. Lee spent time to investigate flora of many local and National Park sites. Much of his effort was directed to the voucher specimens for which he worked for the Illustrated Flora of Korea and also served as a field collector. These collections at SNUA enabled us to extend our educational outreach from the local to the national flora research. Although Dr. Lee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the soul of SNUA, collection records about his purpose and aim for each trip are not well documented except date and field studied sites. This lesson enables us to tackle the same issue of balancing quantity and quality with well documented specimens now.

수우(樹友) 이창복교수는 1946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하여 1984년 퇴임하기까지 우리 나라 식물분류학계의 기반을 다지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1952년부터 1984년까지 33년간 남한지역에서 약 7만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우(樹友)표본관(SNUA)의 근간을 확립하여 체계적인 국내 최대의 표본관으로 발전시켰다. 시기별 주요 채집 활동으로 1950년대는 소지 식별을 위한 채집과 박사학위 논문연구를 위한 채집, 1960년대는 1920-1930년에 걸쳐 일본학자인 T. Nakai가 채집한 희귀식물에 대한 분포 확인차원의 채집을 시도한 시기였고, 1970년대와 1984년까지 학술조사 목적으로 특정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는 채집이 주를 이루었다. 이창복교수는 참나무속과 싸리속 표본에 대한 채집과 기타 목본, 희귀식물과 관련된 수집을 직접 현장에서 식물을 확인하고 확증 표본 확보에 주력하여 현재 SNUA의 소장표본이 전국 주요 지역 식물상의 대표성을 가지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히 이창복교수의 1950년 후반에서 1960년 초반에 걸쳐 채집하여 연구한 아시아산 낙엽성 참나무속에 대한 결과는 많은 관련 연구에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표본을 제외한 기타 채집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아 주요 채집지와 채집 날짜 이외에 조사와 채집의 목적을 명확하게 검증하기 어렵다.

Keywords

References

  1. Jones, S. B. and A. E. Luchsinger. 1986. Plant Systematics.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2. 이창복. 1952. 인전근해도서의 수목목록. 상록 2: 31-41
  3. __.1971. 소금강 및 오대산의 식생. 문공부 학술조사보고서 Pp. 117-131
  4. __, 김태욱 1977. 조계산 일대의 나자식물과 쌍자엽식물.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14:83-96
  5. __. 1978. 월악산 및 조령계곡의 목본식물상.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15:57-76
  6. __, 이용보, 이창회. 1979. 신안군 도서지역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16:31-65
  7. __, 이창희, 이은복. 1980. 고군산군도의 식생.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18:59-86
  8. __, __, 김은식. 1981. 계방산지역의 삼림자원.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20:87-100
  9. __, 김은식, 장진성. 1982. 덕적군도의 식물상.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 1:87-116
  10. __, 장진성, 유종덕. 1983. 점봉산의 식생. 한국자연보전협의 조사보고서 22:49-58
  11. 鄭台鉉. 1943. 朝鮮森林植物圖說. 朝鮮博物硏究會. 硏究書林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