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Children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 Lee, Taek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Dong Hwan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택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동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동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Received : 2002.09.02
  • Accepted : 2002.10.26
  • Published : 2003.01.15

Abstract

Purpose :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n acute form of severe alveolar-capillary injury evolving after a direct or indirect lung insult is thought to be a common cause of respiratory failure though not many clinical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made yet. Methods :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1,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33 children who fulfilled the definition of the ARDS recommended by the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in 1994. Results : A total of 33 patients(20 boys and 13 girls) were selected. Their age ranged from 4 months to 12 years with seven children younger than 1 year.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8.8%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ased on age or sex. Concerning seasonal variation, incidence of the ARDS increased in spring, especially in May(21.2%). Pneumonia(66.7%)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risk factor of the ARDS followed by sepsis(24.2%) and aspiration(3.0%). In immune compromised children(six cases), including a recipient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mortality rate was 100%. Compared with children with multiple organ failure recording a 83.3% mortality rate, those with isolated respiratory failure, showed a lower mortality rate of 33.3%, although stastistically insignificant. Between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hematocrit, $PaO_2$, $PaCO_2$, PEEP, and $PaO_2/FiO_2$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onset of the ARDS. Conclusion : According to our study, respiratory failure proved to have a great effect on mortality rate in the ARDS. More aggressive interven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should be done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목 적 :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 폐 손상 후 급성적으로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이 심하게 진행하는 질환군으로 이에 대한 임상 및 연구 자료들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연자들은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발생 양상, 임상 경과, 예후 및 사망 원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0년간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되었거나 의심되었던 환아 45명 중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서 제안한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33례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33명의 연령별 발병 빈도는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았으며(7례, 21.2%) 4세 미만의 환아의 수는 20례로 전체의 60.6%를 차지하였다. 반면 연령별 사망률은 1세 미만에서 57.1%로 가장 낮아 전체 사망률 78.8%(26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성적이 좋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남아가 20명이고 여아가 13명으로 남녀비는 약 6 : 4였고 각각의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발병 빈도는 봄철(3-5월)에 12례(36.4%)로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5월에 7례로(21.2%) 가장 높았다. 유발요인으로는 폐렴, 패혈증, 흡인성 사고 등의 순이었으며, 골수 이식 수혜자 1례를 포함하여 면역 결핍 상태의 환아들이 전체의 18.2%(6례)를 차지하였는데 이들 모두가 사망하였다. 내원 당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grade 4 이상의 소견을 보인 환아들 중 88.9%(8/9)가 사망하였으나 흉부 방사선 소견에 따른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진단 시 호흡 부전만 보인 군의 사망률 33.3%(1/3)에 비해 타 장기의 기능 부전이 동반된 군의 사망률이 83.3%(25/30)로 증가되었지만 두 군 사이의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서는 진단후 7일째 헤마토크리트, 동맥혈 산소 분압,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 $PaO_2/FiO_2$, 그리고 호기말 양압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 론 :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사망률에는 호흡 부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생존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연구되고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