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for Cortisol Level in Cord Blood

제대혈 Cortisol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 Lim, Hyun Jung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Song, Chang Hu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E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Sang K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임현정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송창훈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김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상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10.16
  • Accepted : 2002.11.09
  • Published : 2003.02.15

Abstract

Purpose : Long-term stress to the fetus causes alterations in adrenal steroidogen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cord blood cortisol with stress during delivery. Methods : Cor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8 neonates at once to labor. Cortisol was measured by RIA method(DPC, USA). Cortisol level according to gestational age(<34, 34-37, >38 wks) and method of delivery(Cesarean section vs. vaginal delivery), Apgar score and uterine contraction, were compared to know stress during labor. Results : Cortisol of cord blood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according to gestational age(P<0.001). It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cases of vaginal delivery than cessarian delivery(P<0.001).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was significantly higher according to duration of labor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rtisol level and uterine contraction(P<0.05).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was significantly low when Apgar score at 1 min was low(P<0.05). Conclusion : Cord cortisol has close association with stress during labor. And so do with post birth prognosis of neonate.

목 적 : 태아시기의 장기간 스트레스는 부신의 호르몬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만 동안의 급성 스트레스와 제대혈 코티솔간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총 58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분만 즉시 제대혈을 10 mL 채취하였고, $4^{\circ}C$에서 2,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즉시 $-70^{\circ}C$에 냉동 보관하였다. 코티솔의 측정은 Coat-A-Count Cortisol Kit를 사용하여 RI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분만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태 연령(34주 이하, 35-37주, 38주 이상), 분만방식(제왕절개 분만 vs 질식분만), Apgar 점수, 자궁수축 유무 등에 따른 코티솔 농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제대혈 코티솔 농도는 재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P<0.001), 제왕절개 분만 군보다 질식 분만 군에서 코티솔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자궁수축을 동반하는 경우가 동반하지 않았던 경우보다 코티솔 농도가 높았으며(P<0.05), 분만 진통시간이 길수록 코티솔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코티솔 농도는 1분 Apgar 점수가 낮았을 때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5). 결 론 : 제대혈 코티솔은 분만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신생아의 출생 후 예후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