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를 받은 수모세포종환아에서 예후인자들이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gnostic Factors on Survival Rate of Medulloblastoma Patient with Chemotherapy

  • 신경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성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원성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양창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철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최중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병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Shin, Kyung Mi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ung 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on, Sung Chul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Chang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yu, Chuhl Joo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Joong Uhn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Byung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2.09.30
  • 심사 : 2002.10.30
  • 발행 : 2003.02.15

초록

목 적: 소아에 있어서 중추신경계 종양은 백혈병 다음으로 흔하며 그 중 수모세포종은 소아 뇌종양의 약 15-25%를 차지하는 종양으로, 방사선과 항암제에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치료방법의 발달로 장기 생존율도 많이 향상되었다. 소아의 수모세포종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진단시의 연령, 병기, 병소의 수술적 적출정도 등이 있다. 이번 연구는 수술 후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아들에서 기존에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에 대한 성적을 조사하여 항암요법 후 이들 예후인자들이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부터 2001년 9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 및 신경외과에서 수모세포종으로 진단 받고 치료받은 94명의 환자 중 항암치료를 시행 받은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항암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총 생존율을 보면 3년 무진행 생존율이 $66.5{\pm}6.3%$이고 15년 무진행 생존율이 $60.3{\pm}6.7%$로 나타났다. 진단 당시 3세 이상 및 미만 환아의 무진행 생존율은 각각 $64.5{\pm}7.7%$$48.2{\pm}12.9%$로 각 군간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진단당시 분류에 의한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의 무진행 생존율은 각각 $72.7{\pm}10.5%$$54.6{\pm}8.3%$로 각 군간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수술적 적출에 의한 생존율의 차이도 완전적출은 $65.8{\pm}11.8%$, 아전적출은 $56.8{\pm}8.2%$로 두 군간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 이전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던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항암제 치료가 전체적인 수모세포종의 생존율을 향상시켰지만, 특히 과거 불량예후인자를 가지고 있던 환자들에서 더욱 생존율의 향상을 가지고 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방사선치료 그리고 항암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볼 때, 과거 예후를 판정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졌던 연령, 병기에 따른 위험군, 종양의 적출정도 등은 오히려 치료방법의 강도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인자라 여겨지며, 충분한 종양의 적출과 그 이후 적절한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것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Brain tumors are the second most common tumor in childhood, and medulloblastomas comprise 15-25% of brain tumors. The well known prognostic factors are age at diagnosis, stage of disease, and extent of surgical excision.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after excisio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1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among the 9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between Jan 1985 and Sep 2001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Neurosurgery at Severance Hospital. Results : Among the total survival rate of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the 3-y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66.5{\pm}6.3%$ and the 15-y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60.3{\pm}6.7%$. The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for patients with age at diagnosis over 3 yrs old and under 3 yrs old, was $64.5{\pm}7.7%$ and $48.2{\pm}12.9%$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rvival rate of the high vs low risk group by staging was $72.7{\pm}10.5%$ and $54.6{\pm}8.3%$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total removal vs subtotal removal was $65.8{\pm}11.8%$ and $56.8{\pm}8.2%$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 The reason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ognostic factors is that chemotherapy has improved not only the total survival rate but also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poor traditional prognostic factors. So, sufficient removal of tumor followed by proper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s the survival rate of medulloblastoma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