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up Study of Children with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소아 Anthracycline 심독성의 추적 관찰

  • Kwon, Hyok J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g, Young H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Soo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Hyoung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Hyoung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ae, Eun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Hee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oh, Chu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n, Yong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Hyo Seop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혁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송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수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형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형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배은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정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윤용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안효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30
  • Accepted : 2002.10.28
  • Published : 2003.03.15

Abstract

Purpose :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hracycline cumulative dose and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in childhood cancer and followed up 40 children with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154 children who received anthracycline chemotherapy between January 1995 to December 2000. Cardiotoxicity was defined when the left ventricular fractional shortening(FS) was below 26%;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mild and severe cardiotoxicity, according to the FS. We followed up survivors with cardiotoxicity, and checked their present cardiac function by physical activity, echocardiography, electrocardiography(EKG) and chest X-ray. Results : Of the 154 children treated with anthracyclines, forty(26.0%) were diagnosed as cardiotoxicity. The incidence of cardiotoxicity increased in exponential fashion with increases in the cumulative dose of anthracyclines. There was minimal increase of incidence until a dose of $300mg/m^2$ after which the incidence increased rapidly. After mean $3.8{\pm}1.8year$ follow-up of 23 survivors with cardiotoxicity, FS increased significantly. EKG and chest X-rays were not helpful for the diagnosis of cardiotoxicity because of their lo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nclusion : Although convenient, non-invasive and inexpensive, EKG and chest X-rays were not helpful for the follow-up of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Almost all survivors with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have improved in both physical activity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after discontinuation of anthracyclines.

목 적 : 항암치료 중 anthracycline을 사용한 환아들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통해 anthracycline의 축적량과 anthracycline 심독성과의 관계를 알고자 했고 심독성 환아들에 대한 추적 조사를 통해 anthracycline 심독성 환아의 예후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anthracycline을 포함한 항암치료를 시작한 환아를 대상으로 과거 anthracycline 축적량과 심장 초음파 검사 소견, 심독성 발생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심독성은 좌심실 수축분율이 26% 이하로 감소한 경우로 정하였고 이들을 다시 좌심실 수축분율이 20%가 넘는 경증 심독성과 20% 미만인 중증 심독성으로 분류하였다. Anthracycline 심독성이 발생한 환아들에게 운동 능력과 심장 초음파, 심전도 검사, 흉부 방사선 촬영 등의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조사대상 환아는 154명이었다. 이 중에서 40명(26.0%)의 anthracycline 심독성이 발생하였으며 경증 심독성이 27명(17.5%), 중증 심독성이 13명(8.4%)이었다. 심독성의 발생률은 anthracycline의 축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다가 축적량이 $300mg/m^2$ 이상부터 갑자기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심독성 환아 40명 중 12명이 추적조사 이전에 사망하였고 생존한 환아 중 23명에 대해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Anthracycline의 사용을 중단한 후 평균 $3.6{\pm}1.8$년의 추적검사 결과 심독성 환아들의 좌심실 수축분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흉부 방사선 촬영이나 심전도 검사는 심독성의 진단을 위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매우 낮은 검사였다. 결 론 : 일반적으로 anthracycline 심독성 환아의 추적검사로 시행하는 심전도 검사나 흉부 방사선 촬영은 심독성의 추적 조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심독성 환아들은 일단 생존하여 항암치료를 마치고 약 2-5년 정도 경과하면 심부전 증상이나 심장초음파 검사상 대부분 호전을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