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s of Chest X-ray Findings and Serum IFN-γ, IL-5, ECP as Predictors of Prognosis of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in Infants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의 예후 지표로서 혈청 IFN-γ, IL-5 및 ECP치와 흉부 방사선 소견의 의의

  • Cho, Su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Hyun Se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Mi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Joon 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조수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현승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미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준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24
  • Accepted : 2002.11.09
  • Published : 2003.03.15

Abstract

Purpose :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infant and young children are often due to a virus, especially the Respiratory syncytial(RS) virus. Chest X-ray findings in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are different. The radiographic hallmark of bronchiolitis is pulmonary hyperinflation and similar to that of bronchial asthma. Bronchiolitis is predisposed to later development of bronchial asthma.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immuno-pathophysiology between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we measured $IFN-{\gamma}$(Th1 cytokine), IL-5(Th2 cytokine) and ECP.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X-ray findings in infants with viral infected respiratory disease are useful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sthma. Methods : We measured IL-5, ECP, $IFN-{\gamma}$ levels in serum from 21 infants with bronchiolitis and 21 infants with bronchopneumonia and 16 infants without pulmonary viral diseases. Results : IL-5 levels of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P=0.02, P=0.042). IL-5 levels of bronchiolitis were higher than those of bronchopneumoni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FN-{\gamma}$ levels of bronchopneumonia were higher than those of bronchioliti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CP levels of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ut only those of bronchioliti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P=0.045). IL-5 and ECP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in bronchiolitis, bronchopneumonia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 We cannot prove the distinct differences in serum Th1/Th2 cytokine profiles between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in inf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t findings on chest X-ray between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could not be a predictor of later development of asthma.

목 적 :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은 흉부 X-선 사진으로 감별되며 세기관지염은 과팽창(hyperinflation)이 중요한 소견으로서 이는 기관지 천식의 흉부 X-선 사진 소견과 유사하다. 세기관지염에 이환된 환아는 향후 기관지 천식을 앓을 가능성이 높다. 기관지 천식은 Th1보다는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되며, 이러한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한 영아의 하기도 질환은 그렇지 않은 하기도 질환보다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Th1과 Th2 cytokine인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를 관찰하여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면역 병태 생리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봄으로써 영아 하기도 질환의 흉부 X-선 사진상의 차이가 향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세 미만의 영아로서 흉부 X-선 사진상 세기관지염 그리고 기관지 폐렴 환아 21명을 실험군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증거가 없는 영아 1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의 혈청에서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CP치를 측정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 1) IL-5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2, P=0.042)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각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IFN-{\gamma}$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또한 기관지 폐렴에서 세기관지염에서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나 역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ECP치는 세기관지염에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ECP치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 모두에서도 IL-5와 ECP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영아 하기도 질환 환아의 혈청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알레르기 염증지표(IL-5, ECP)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 IL-5와 $IFN-{\gamma}$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어 이 두 질환의 면역 병태 생리에 Th1, Th2 림프구의 선별적 관여를 증명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흉부 X-선 사진 양상의 차이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영아 하기도 질환이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 것 같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