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pstein-Barr Virus, and Human Leukocyte Antigen Typing in Children with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에서 Epstein-Barr 바이러스의 감염형과 사람 백혈구 항원형 연구

  • Hahn, Se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Medical Colle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hin, Wan-Sh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Colle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Hoon (Department of Microbiology, Medical Colle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Jin-Han (Department of Pediatrics, Medical Colle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한승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완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강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04
  • Accepted : 2002.10.30
  • Published : 2003.05.15

Abstract

Purpose : The Epstein-Barr virus(EBV), gamma herpesvirus, is an important pathogen that is widespread around the world. The EBV causes various diseases depending on the geographic location, and on the immunity or the premorbid condition of the person exposed to EBV. To evaluate EBV typing may be the most important step to figure out the pathogenesis of EBV associated diseases, and we need to re-evaluate the pathologic role of human leukocyte antigen(HLA) in developing Epstein- Barr virus associated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by using newly developed method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24 children(age range : 6 to 13 years), serologically confirmed with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The control group for the HLA type consisted of 200 age-matched healthy children. To classify HLA I, modified ARMs-PCR was used, while modified PCR-SSOP was utilized in typing of HLA II. Also, we performed EBV typing in study patients by using a one-step PCR. Results : The results of HLA types : In HLA class I, HLA-A24 was positive in 69 of 200 healthy children and positive in 14 of 24 patients in the study group(relative risk : 3.5724, chi-square; 5.26, P<0.05). In HLA class II, HLA-DRB1*07 was detected in 18 of 200 healthy children, and eight of 24 patients in the study group(relative risk; 506173, chi-square; 9.73, P<0.01). The results of EBV types : In the research group, 20(83.8%) of 24 patients were shedding type A virus, while 4(16.7%) were type B.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development of infectious mononucleosis may be associated with HLA type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could have hereditary traits. And we confirm that type A EBV is highly prevalent in patients with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in Korea. Also, our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large scale studies, including adult group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thogenesis of EBV with HLA-DP or HLA-DQ will be warranted.

목 적 : EBV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고, EBV는 지역과 EBV에 노출된 사람의 면역 또는 병적 상태에 따라 감염형이 달라 EBV 감염형에 관한 연구는 EBV의 역학연구와 EBV 관련 질환의 병인연구에 제일 기본적이다. EBV의 잠복감염 유전인자들에 의한 세포독성 T 림프구 면역상태는 EBV에 의한 다양한 질환의 병인적 역할이 있으며 HLA에 의하여 유발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 시행한 많은 연구에서 EBV 감염과 HLA형과의 연관성은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나, HLA II형에 속한 항원이 EBV의 인체 내 침투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고됨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EBV 감염에 의한 국내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에서 주된 EBV 감염형의 분포를 확인하고,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의 발생이 HLA형과 연관성이 있는 지를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으로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6세에서 13세 사이의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으로 확진된 24명의 환아 이었다. 감염형의 비교 대조군은 건강한 정상 소아 중 면역혈청학적 검사로 EBV 노출이 확인된 동일한 연령의 58명이었고, HLA형 분류의 비교 대조군은 연구대상 환아와 동일한 연령의 정상 소아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BV에 의한 급성 전염성단핵구증 환아에서 중합 효소 연쇄반응법으로 EBV 감염형을 분류하여 주된 감염형을 확인하고, ARMs PCR법으로 HLA-A, B, C 항원형을, PCR-SSOP법으로 HLA-DRB 항원형을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EBV 감염형 결과 : 연구 대상 환아 24명에서 EBV A형이 20명(83.3%)이었고, B형은 4명(16.7%)이었다. 비교 대조군의 경우에는 58명 중 14명(24.1%)이 EBV가 검출되고 이들 중 A형은 11명(78.6%)이었고, B형이 3명(21.%)이었다. 2) HLA 형 분류 결과 : HLA I형 결과는 HLA-A24형에서 비교 대조군 200명 소아 중 69명이 양성이었고, 연구 대상 환아 24명 중 14명이 양성을 보여 RR치가 3.5724, chi-square치가 5.26, P<0.05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그러나 HLA-B, C항원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HLA II형 결과는 HLA-DRB1*07형에서 비교 대조군 200명 소아 중 18명이 양성이었고, 연구 대상 환아 24명 중 8명이 양성을 보여 RR치가 5.6173, chi-square치가 9.73, P<0.01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의 EBV 감염형은 정상 비교 대조군의 소아에서 주된 감염형인 A형과 동일한 감염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HLA형 연구에서 HLA-A24형과 HLA-DRB1*07형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 EBV에 의한 급성 전염성단핵구증 발생이 HLA형과 연관성이 있음을 추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