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폐정맥의 협착

Stenosis of Individual Pulmonary Veins

  • 이미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길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남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염명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용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설인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Mir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Choi, Kil S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Nam Su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um, Myung Ku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Yong J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ul, In J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02.12.24
  • 심사 : 2003.04.11
  • 발행 : 2003.06.15

초록

폐고혈압의 원인은 크게 심박출량의 증가나 혈관 수축 또는 폐쇄에 의한 폐혈관저항의 증가로 볼 수 있고 수동적으로도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심기형이나 혈관기형을 동반하지 않고 개별 정맥의 협착으로 인해 유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출생시 식도 기관루 제거와 식도 연결을 시술한 환아에서 반복되는 청색증과 호흡곤란으로 일반외과 3회 입원 후 식도 협착으로 풍선 확장술을 시행하였던 10개월 영아에서 심초음파를 통해 폐동맥 고혈압을 진단하고 심혈관도자술을 통해 개별 폐정맥들의 협착을 원인으로 밝혔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Pulmonary hypertension may be associated with variable conditions such as the hyperkinetic state or pulmonary vascular obstruction. In these, stenosis of the individual pulmonary veins without any cardiac or vascular malformation is very rare. We experienced stenosis of individual pulmonary veins in a 10 months old boy who was admitted with recurrent dyspnea and cyanosis and then underwent angiogram and a lung perfusion sca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