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감염 후의 재발과 추적관찰에 관한 연구

Recurrence and Follow-up after Urinary Tract Infection

  • 김지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혜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기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영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주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순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Kim, Ji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n, Hye 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oo, Kee H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Hong, Young So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Joo W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Soon Kyum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투고 : 2003.02.28
  • 심사 : 2003.05.14
  • 발행 : 2003.06.15

초록

목 적 : 요로 감염은 진단 및 치료가 일찍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한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고 재발 역시 잦은 질환이므로 미리 재발이 예방된다면 신장의 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요로 감염의 재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위험성이 높은 환아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재발을 조기에 진단함으로 손상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소아과에서 요로 감염으로 치료받은 환아 168명 중에 6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9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 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요로 감염의 재발을 진단하기 위해 매달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총 재발률은 32.3%로 남아에서는 37.1%였고 여아에서는 17.4%였다(P<0.05). 요로 감염시의 원인균으로는 초발이나 재발에 모두 E.coli가 가장 많았다. 재발 감염이 있는 남아의 초발 감염은 재발이 없는 남아보다 발병 시기가 빨랐다($4.8{\pm}1.0$개월 대 $16.5{\pm}3.8$개월, P<0.05). 첫 감염 후 첫 6개월내에 약 77% 정도에서 재발을 하였는데 남아에서의 첫 감염 후 재발이 여아에서의 재발보다 빨랐다($3.7{\pm}0.6$개월 대 $14{\pm}8.2$개월, P<0.05). 1세 미만에 요로 감염이 발병한 환아에 있어 재발 횟수는 연간 $0.69{\pm}0.8$회로 1세 이상에서 요로 감염이 발병한 환아의 재발 횟수인 연간 $0.16{\pm}0.4$회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 구조적인 이상 유무가 재발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결 론 : 요로 감염의 재발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성별과 연령이 중요하게 생각되며 남아인 경우, 1세 미만인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특히 이런 환아들에서는 정기적으로 매달 소변 배양 검사를 감염 후 적어도 첫 6개월 꼭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적 항생제 요법을 하는 경우에 방광 요관 역류는 재발의 위험인자로 생각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방광 요관 역류가 있는 경우에는 예방적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 Urinary tract infection(UTI) is the most common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that may induce severe renal injury unless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performed. If recurrent UTI is prevented, renal injury can be also reduced. Therefore, we studied the risk factors of recurrent UTI in children.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168 children(58 girls and 110 boys) who were treated for UTI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ing 2000-2001. Among 168 children, 93 children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six months. For the detection of recurrence of UTI, we performed monthly routine urine cultures and physical examinations. Results : The total rate of recurrence was 32.3%. The recurrent rate in boys and girls were 37.1% and 17.4%, respectively(P<0.05). The most common causative bacteria in the first onset and in recurrence were Escherichia col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set age of UTI between boys with recurrence($4.8{\pm}1.0months$) and without recurrence($16.5{\pm}3.8months$)(P<0.01). In 77% of cases, urinary tract infection recurred within six months of the first infection. The time of the first recurrence after UTI was $3.7{\pm}0.6months$ in boys and $14{\pm}8.2months$ in girls(P<0.01). The number of recurren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under the age of one year($0.69{\pm}0.8/year$) and those above the age of one year($0.16{\pm}0.4/year$)(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urrent rate between those with structural abnormality and those with normal anatomy. Conclusion : Monthly routine urine cultures are efficient in detecting recurrent UTI in children. Because the male sex and young age especially less than one year of age are risk factors for increased recurrence rate of UTI, these children should be followed-up with urine cultur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