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의 발열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 인자 :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Predictors of Clinically Non Specific Bacterial Infection in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 WBC, ESR and CRP

  • 노정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영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양은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봉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Nho, Jeong 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ho, You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Yang, Eun Seu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E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Yeong B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Moon, Kyung Ry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03.04.10
  • 심사 : 2003.06.12
  • 발행 : 2003.08.15

초록

목 적 : 저자들은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세 이하의 소아에서 초기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정량적 검사를 통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으로 선택하여 세균성 감염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항생제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치료 하였던 환아 중 진찰 소견에서 발열에 대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1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세균성 감염과 비세균성 감염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진단 기준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를 계산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cut-off point)으로 선택하여 그 수치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71명(남아 44명, 여아 27명)이고, 평균 연령은 12.7개월이었다. 세균성 감염인 경우는 20례(28%)이었으며, 요로 감염 12례, 세균혈증 5례, 뇌막염 3례 순이었다. 감염균은 E.coli 6례, K.pneumoniae 3례, E. faecalis 3례, Streptococcus ganguinis 3례, Salmonella 2례, S.aureus 1례,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1례, Streptococcus constellatus 1례였다.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은 세균성 감염군과 비세균성 감염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8, 0.009, 0.002). 양성예측치와 우도비는 총 백혈구 수는 20,000/mm^3$ 이상에서 75%, 7.65이었으며, 적혈구 침강 속도는 30-50 mm/hr에서 60%, 3.83이었다. C-반응성 단백질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는 3-6 mg/dL에서 63%, 4.25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는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이었으며, 이 값에서의 민감도는 각각 75%, 79%, 83%, 특이도는 75%, 68%, 77%이었다. 결 론 :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 발열 환아에서 차단점을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으로 적용할 때 세균성 감염에서 선택적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Our examin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the cutoff point for the prediction of bacteremia in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Cutoff point is the value that simultaneously maximizes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ho clinically have no identifiable source of fever. Peripheral blood leukocyte count(WBC), absolute neutrophil count(ANC),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and C-reactive protein(CRP)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All patients received blood culture, urine culture and/or CSF culture. Bacterial infection was defined as single pathogen isolated from the CSF or blood or a urinary tract infection (UTI). Patients were dichotomized into two groups : those with bacterial infection and no bacterial infec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two groups. Results : Seventy-one patients(44 males; 27 femal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nty patients (28%) had a serious bacterial infection(twelve urinary tract infection, five bacteremia, three meningitis) and fifty-one(72%) had no serious bacterial infection. WBC, ESR and CR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The cutoff point of WBC, ESR and CRP were $20,000/mm^3$, 30 mm/hr and 3.0 mg/dL,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cutoff point were WBC(75%, 75%), ESR(79%, 68%) and CRP(83%, 77%),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data show the ability of predictors to identify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ith bacterial infection. Febrile children who reach the cutoff point must be treated intensively and those who do not reach the cutoff point can be carefully managed without administering antimicrobial ag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