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와 수면양상

Overnight Growth Hormone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in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 서상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기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은백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손창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독고영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백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Seo, Sang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Kee H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Eun, Baik L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ohn, Chang 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Tockgo, Young Ch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n, Ch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Baek-Hyu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투고 : 2002.11.14
  • 심사 : 2003.02.08
  • 발행 : 2003.04.15

초록

목 적 : 본 연구는 저신장 소아 중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는 정상반응을 나타낸 특발성 저신장 소아들을 대상으로 야간의 수면 양상과 성장호르몬 분비가 정상 신장의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인 신장이 3 백분위수 이하인 특발성 저신장 아동 12명과 정상 신장 아동 9명을 대상으로 30분 간격으로 야간수면 동안의 자발적 성장호르몬 분비를 측정하고 동시에 polysomnography로 수면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야간 수면 중 분비된 성장호르몬의 평균농도는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2.8{\pm}0.2 ng/mL$ vs $4.7{\pm}0.6 ng/mL$), 특히 수면개시 후 서파 수면과 동반되는 성장호르몬 최대 분비치가 저신장 아동군이 낮았다. 2) 수면 중 성장호르몬 농도가 5 ng/mL 이상인 성장호르몬 분비 최대치의 횟수는 각각 $4.1{\pm}0.5$회, $5.8{\pm}0.6$회로 저신장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3)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서파 수면 시간의 백분율도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16.4{\pm}1.3%$ vs $20.8{\pm}1.2%$). 결 론 : 야간 수면 동안의 자발적인 성장호르몬 분비 검사가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이는 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추가적인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들 저신장 아동에서 보이는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는 수면구조의 차이와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harmacologic provocation test of growth hormone(GH) is a non-physiologic method and has several limitations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GH) deficiency. Spontaneous GH release studies could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of children with poor growth but normal responses to GH provocation test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nocturnal GH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in short stature children is poo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leep patterns and nocturnal GH secretory profiles between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and a normal stature group. Methods : Spontaneous nocturnal GH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were evaluated in 12 prepubertal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with normal responses to provocation tests and 9 normal stature controls. Blood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from 22:00-06:30 and sleep patterns were analyzed by polysomnography. Results : The mean GH level during sleep was significantly lower in short stature children than in controls. The peak GH level after sleep, coincident with the first slow wave sleep, was lower in the short stature group. The slow wave sleep times of short stature children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subje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night serial GH sampling is helpful to identify short stature children with subnormal GH secretions, and sleep structure differences may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overnight GH secretions in short stature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