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in Adolescents with Long-term Asthma Remission and Persisten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 Comparison with Adolescents with Symptomatic Asthma

기관지 과민성을 가진 장기간 천식 관해 상태의 청소년에서 혈액 내 호산구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에 대한 연구

  • Ka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 Jin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Y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Young Yul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진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영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3.05.30
  • Accepted : 2003.08.13
  • Published : 2003.10.15

Abstract

Purpose :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in asthma is thought to be a consequence of underlying airway inflammation. But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persistent BHR in adolescents with long-term asthma remission is poo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BHR in adolescents with asthma remission is associated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and/or increased serum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Methods : We studied 35 adolescents with long-term asthma remission(neither symptoms nor medication during the previous two years) who have persistent BHR(remission group) and 35 adolescents with symptomatic asthma(symptomatic group) who were matched for methacholine provocative concentration producing a 20% fall in $FEV_1(PC_{20})$ with subjects in the remission group. The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Correlations between $PC_{20}$ and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or serum ECP concentrations were assessed in these two groups. Results :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mission group than in the symptomatic group($273{\pm}108$ vs. $365{\pm}178/{\mu}L$; $16.3{\pm}9.4$ vs. $26.5{\pm}15.1{\mu}g/L$, both, P<0.05). $PC_{20}$ was correlated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concentrations in the symptomatic group(r=-0.385, P=0.022; r=-0.439, P=0.008), but not in the remission group(r=-0.292, P=0.089; r=-0.243, P=0.159). Conclusion : BHR in adolescents with long-term asthma remission is not associated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or an increase in serum ECP concentration, which suggests that BHR in this clinical setting may not be attributed to airway eosinophilic inflammation. Further studies including direct assessment of airway inflammation ar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목 적 : 천식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BHR의 기전으로 호산구성 기도 염증 반응이 중요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 천식 관해 상태인 청소년에서 BHR이 지속되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천식 관해 된 청소년에서의 BHR이 호산구성 기도 혈액내 총 호산구 증가와 혈청 ECP 농도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아토피성 천식으로 진단되었던 청소년 중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해(최근 2년간 천식 증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 없었던 경우)되었으나 BHR이 잔존하는 35명과 이들과 서로 대응하는 BHR을 갖고 있으면서 현증을 보이는 아토피 천식 청소년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두 군간의 총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를 비교하고 각 군에서 총 호산구 수 및 혈청 ECP 농도와 $PC_{20}$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 지 분석하였다. 결 과 : 장기간 관해 된 군의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평균값이 현증을 보이는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273{\pm}108$ vs. $365{\pm}178/{\mu}L$; $16.3{\pm}9.4$ vs. $26.5{\pm}15.1{\mu}g/L$, both, P<0.05). 현증을 보이는 군에서는 메타콜린 $PC_{20}$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 및 혈청 ECP 농도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385, P=0.022; r=-0.439, P=0.008) 장기간 관해 된 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292, P=0.089; r=-0.243, P=0.159). 결 론 : 이와 같은 소견은 장기간 관해시의 BHR은 호산구성 염증과 연관성이 없으며 현증 천식에서의 BHR과는 다른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기간 천식 관해 된 청소년에서 BHR이 잔존하는 기전에 대하여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 향후 BAL, 조직 검사, 유도 객담 등을 이용한 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