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 in the Limit of Viability of Fetal Infants

  • 최창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황종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심재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소아과) ;
  • 김성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소아과) ;
  • 고선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소아과) ;
  • 이은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소아과) ;
  • 장윤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박원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Choi, Chang Won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Hwang, Jo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Shim, Jae Won (Department of Pediatrics, Kangbuk Samsung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Sung Sin (Department of Pediatrics, Pucho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 Chun Hyang University) ;
  • Ko, S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Chei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Eun 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Chei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Chang, Yun Sil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Won Soon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03.08.04
  • 심사 : 2003.09.30
  • 발행 : 2003.12.15

초록

목 적 :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시기에 따른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출생체중 800 g 미만의 초극소미숙아 73명, 재태연령 27주 미만의 초극소미숙아 117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연구대상 초극소미숙아들의 의무기록을 생존여부와 만성폐질환, 미숙아 망막증, 뇌실내 출혈와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을 포함하는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유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는 생존율이 50%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고 총 연구기간을 1998년 이전(제 1기)과 1999년 이후(제 2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와 주요 합병증의 발생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는 제 1기에는 출생체중 800 g대, 재태연령으로는 26주 대에서 제 2기에는 출생체중 600 g대, 재태연령으로는 24주 대로 현저히 낮아졌다. 제 2기에서의 이 한계 출생체중 대와 재태연령 대에서의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빈도는 50% 미만이었다.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빈도는 출생체중이나 재태연령이 감소함에 따라서 반드시 증가하지는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본원에서는 출생체중이 600 g 이상이거나 재태연령이 24주 이상인 초극소미숙아들에게는 적극적으로 소생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출생체중과 재태연령의 초극소미숙아에서 주요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은 그보다 조금 더 큰 출생체중, 더 많은 재태연령의 그것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and the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at Samsung Medical Center(SMC). Methods : Sevety-three infants weighing less than 800 g at birth and 117 infants born earlier than 27 weeks gestational age, who were admitted to NICU at SMC between November 1994 and December 2002, were enrolled.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survival and major complications, including chronic lung disease,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was defined as the birth weight or gestational age at which a 50% survival rate is reached and the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y period(period I : Nov. 1994-Dec. 1998, period II : Jan. 1999-Dec. 2002). Results :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was markedly lowered from birth weight range of 800-900 g or gestational age range of $26^{+0}-26^{+6}$ weeks in period I to birth weight range of 600-700 g or gestational age range of $24^{+0}-24^{+6}$ weeks in period II. The incidence rates of major complications at the limit of viability were all less than 50% in period II. There was no definite trend toward increased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as birth weight get smaller and gestational age get younger. Conclusion : Our results indicate that at present, fetal infants whose body weight is over 600 g, or whose gestational age is over 24 weeks should be resuscitated vigorously. The risk of major complications at this birth weight or gestational age seems to be not greater than that at a bigger birth weight or an older gestational 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