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Multi-Functional Fabric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특수기능섬유가 심박변화도와 심리변수에 미치는 효과

  • Lee, Myeong-Soo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Wonkwang University) ;
  • Kim, Hye-Kyung (Dept. of Clothing, College of Human Environment Science Wonkwang Universiry) ;
  • Kim, Hye-Jung (Dep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ry) ;
  • Park, Ki-Won (Herbogene Co.) ;
  • Moon, Sun-Rock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Wonkwang University)
  • 이명수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통합의학센터) ;
  • 김혜경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 ;
  • 김혜정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박기원 (허보진 주식회사) ;
  • 문성록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통합의학센터)
  • Received : 2003.04.21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lti-functional fabric on the autonomic nervous func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2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lower values in anxiety, depression, fatigue and stress level and higher emotional level. This study reveals that multi-functional fabrics reduced the low frequency/high frequency power ratio of heart rate variabil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multi-functional fabrics increases cardiac parasympathetic tone. In addition,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have lower heart rate compared with controls. This augmented heart rate in experiment provides support for stablizing autonomic nervous system. In conclusion, multi-functional fabrics may stabiliz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psychological symptoms.

Keywords

References

  1. 권의철. 김동윤. 김동선. 임영훈. 손진훈 (1998) 심박변화분석을 이용한 장면시자극에 대한 감성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학회지. 1(1), 93-103
  2. 고한우. 윤동현. 김동윤. 이창미 (2000) 생리신호를 사용한 단조작업 수행시 정신피로도의 측정과 평가(I). 한국감성과학회지, 3(1), 1-6
  3. 박완서 (2003) 원적외선 효과와 원적외선 복사율. 한국정신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서울, 124-138
  4. 백우현 (1995) 한국의 원적외선 복사체의 분광학 적통성. 제 1회 한일 원적외선 심포지움, 오사카, pp.105-149
  5. 손진훈. 이인갑 (1998) 직물 촉감감성 연구의 심리 생리학적 접근. 섬유기술과 산업, 2(4), 439-450
  6. 손진훈 박현영. 이임갑. 최상섭. 강대임 (1998) 내의 직물의 역학정 특성과 질감 감성과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지, 1(2), 35-42
  7. 손진훈 박미경. 이배환. 민병찬 (2002)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분석. 한국감성과학회지, 5(1), 61-70
  8. 이명수 이진희. 고경찬. 문성록 (2003) 특수기능성 섬유가 성장기 운동선수의 수면 중 성장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 산업학회지, 5(1), 77-81
  9. 여남회 (2002) 생리보조물 함유 기능성 운동복 착용이 운동수행능력 및 자율신경과 체표온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1(1), 259-276
  10. 정혜진. 김춘정. 조길수 (2003) 스포츠웨어용 직물의 소리특성이 근전도와 주관적 감각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5(3), 27-32
  11. 최계연. 김춘정. 조길수 (2002) 견직물 마찰음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감성과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지, 5(3), 39-46
  12. 최자영. 이현주. 오대욱. 임춘성. 이병도. 정경연 (1998) 직물디자인의 감성공학적 분선방법론 연구. 한국감성과학회지, 1(2), 43-53
  13. Bradley M.M. and Lang P.J. (1994) Measuring emotion: the self- assessment manikin and the sematic differential. J. Behav. Ther. & Exp. Psychiat., 25(1), 49-59 https://doi.org/10.1016/0005-7916(94)90063-9
  14. Cline M., Herman J., Shaw E. and Monon R.M.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 Res., 41, 378-381
  15. Malik M. and Camm A.,I. (1995) 'Heart Rate Vahability'. FuturaPublish. Co., New York, pp.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