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of Symptom and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증상 및 통증조절 현황

  • Chung, Young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a, Duck-Mi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n-Sun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Kyung-Mi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나덕미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김진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양경미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3.12.05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ymptom and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66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chart audit and using questionnaire from 19 clinicians in an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August 7 to 24, 2001. The degree of symptom, analgesics type, dose, administration route, and pain control method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as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mean, and SD using SPSS $PC^+$ program. Results :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as 66, male 35 (53.0%), female was 31 (47.0%). The largest of age group was $61{\sim}69$(34.8%) years old. Most frequent cancer site was stomach 19 case (28.8%), cole-rectal 17 case (25.8%), urinary 11 case (16.7%) in the respective order. The most common stage of cancer was stage 3, 14 case (29.2%). The most frequent duration of diagnosis was under 3 month, 25 (37.9%). The frequent symptom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as marasmus ($2.4193{\pm}1.2220$), pain ($1.9333{\pm}1.2194$), sleep disorders ($1.7142{\pm}1.0384$), personality change ($1.5806{\pm}0.8971$) in the respective order. 3) The analgesics used for pai control were narcotic analgesics 66.2% and nonnarcotic analgesics 33.8%. Pain control method were regular basis+as needed 47.4%, as needed 31.6%, regular basis 21.0% in order. Administration route were oral 50.7%, injection 41.8%, patch 7.5% in order. Conclusion : The most frequent symptom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ere marasmus and pain. The frequent analgesics was narcotic analgesics but 21% of the clinician regularly prescribed analgesics for pain control. Thus this prescription was insufficient for pain control. Administration route that were used more oral or injection than patch. Based on this evidence, it seemed that more active practice and education about evaluation and pain control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are needed.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증상과 통증조절을 위한 약물사용 및 그 치료방법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 2001년 8월 7일부터 24일까지 광주광역시 일개 대학교 부속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에 입원치료중인 암환자와 주사실에서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전체환자 가운데 연구에 동의하고 질문에 응답을 허락한 66명과 chart audit 및 담당의사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증상의 정도와 통증조절에 사용된 약물의 종류, 투여경로, 평균 투여량, 투여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수와 백분율로 제시하였으며, 증상의 빈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다. 진통제의 종류, 규칙적 또는 일시적(pm) 사용여부, 투여경로는 수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결과 : 66명의 조사대상자 중 남성 35명(53.0%), 여성 31명(47.0%)이었고, 연령은 $61{\sim}69$세가 23명(34.8%)으로 가장 많았다. 진단명은 위암 19명(28.8%), 대장 직장암 17명(25.8%), 비뇨기계암 11명(16.7%) 순으로 나타났다. 진단명 기수는 3기 14명(29.2%), 2기 12명(25.0%), 1기 11명(22.9%), 4기 11명(22.9%) 순이었고, 진단기간은 3개월 이내가 25명(37.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증상으로는 '쇠약'($2.4193{\pm}1.2220$), '통증'($1.9333{\pm}1.2194$), '수면장애'($1.7142{\pm}1.0384$점), '성격변화'($1.5806{\pm}0.8971$) 순으로 나타났다.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통증조절을 위한 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 66.2%, 비마약성 진통제 33.8%를 사용하고 있었다. 진통제의 규칙적인 투여는 21%, 일시적(pm)인 투여는 31.6%, 규칙적으로 투여하면서 필요시마다 pm으로 투여한 경우는 47.4%이었다. 진통제의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한 경우 50.7%, 주사로 투여한 경우 41.8%, 패치를 사용한 경우가 7.5%로 나타났다. 결론 :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증상으로는 쇠약과 통증을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그리고 통증조절을 위해서는 마약성 진통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였지만 임상의사들의 21%에서만 진통제에 대한 규칙적인 투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통증조절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하여 통증의 적절한 평가와 통증조절에 대한 실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