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erum Cytokines($IL-1{\beta}$, IL-6, and $TNF-{\alpha}$) between Termin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Vitamin C and Them without Vitamin C Therapy

Anorexia-Cachexia Syndrome을 가진 말기 암 환자에서 비타민 C 사용여부에 따른 사이토카인 변화 비교

  • Yeom, Chang-Hwa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 Suh, Sang-You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 Cho, Kyung-H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 Sun, Young-Gyu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 Park, Yong-Gyu (Department of Biostatistics,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Hye-R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염창환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 서상연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 조경희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 선영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임상병리과) ;
  • 박용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
  • 이혜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7.05

Abstract

Purpose : Anorexia-cachexia syndr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and main cause of death in terminal cancer patients. This symptom is due to the enlarged cancer mass as well as tumor released cytokines. Some doctors have suggested that vitamin C was preferentially toxic to tumor cells in vitro and in vivo, and improved clinical symptom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Therefore, we measured cytokines in serum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o determine whether vitamin C treatment improved the anorexia-cachexia syndrome. Methods : We investigated that 49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from March 1, 2002 to August 31, 2002. The study was done on 22 patients who were given 10 g/day of vitamin C infusions during 1 week and 27 patients who were not infused. We measured the cytokines levels ($IL-1{\beta}$, IL-6, and $TNF-{\alpha}$) before and after 1 week between terminal cancer patients treated vitamin C and without vitamin C. Results : Out of 49 patients, patents treated with vitamin C infusions were 22 (12 male, 10 female), and these without vitamin C were 27 (18 male, 9 female). In patients treated with vitamin C, $IL-1{\beta}\;were\;6.19{\pm}5.17$ before day and $8.76{\pm}5.72$ after 1 week, IL-6 were $3.07{\pm}8.09$ before day and $1.31{\pm}2.36$ after 1 week, and $TNF-{\alpha}\;were\;2.74{\pm}14.24$ before day and $0.50{\pm}2.00$ after 1 week. In patients treated without vitamin C, $IL-1{\beta}\;were\;2.50{\pm}3.58$ before day and $6.49{\pm}12.01$ after 1 week, IL-6 were $1.00{\pm}2.19$ before day and $17.16{\pm}81.55$ after 1 week, and $TNF-{\alpha}\;were\;1.19{\pm}2.98$ before day and $1.27{\pm}1.52$ after 1 week. The level of cytokines in patients treated with vitamin C decreased more than those without vitamin C. However, this represented no statistical value (P=0.0598 in $IL-1{\beta}$, P=0.1664 in IL-6, and P=0.5395 in $TNF-{\alpha}$). Conclusion : In terminal cancer, even if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ytokines levels between patients treated with vitamin C and those not treated, those who were treated had a decrease all cytokines levels. Vitamin C is very safe with almost no side effects. Therefore, vitamin C treatment in terminal cancer patients can be seen as beneficial and helpful for clinical symptoms.

배경 : Anorexia-cachexia syndrome은 말기 암 환자에서 흔한 증상이며, 암 환자의 주린 사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들 증상들은 주로 암 세포 성장과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s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일부 의사들은 비타민 C가 선택적인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말기 암 환자에서 임상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 등은 비타민 C가 anorexia-cachexia syndrome을 유발시키는 기전 중의 하나인 사이토카인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3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22명은 비타민 C를 1주일동안 지속적으로 10 g을 정맥 주사하였고, 나머지 27명은 비타민 C를 주사하지 않았다. 대상이 된 환자의 비타민 C를 주기 전과 주고 1주일 지난 후의 혈액을 채취하여 cytokine의 변화가 있는 지를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된 총 49명의 환자 중 22명(남자 12명, 여자 10명)이 비타민 C를 사용하였고, 27명(남자18명, 여자 9명)이 비타민 C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타민 C를 사용한 환자에서 $IL-1{\beta}$는 사용 전에는 $6.19{\pm}5.47$이고, 사용 1주일 후에는 $8.76{\pm}5.72$$2.94{\pm}7.29$만큼 증가하였고, IL-6는 사용 전에는 $3.07{\pm}8.09$이고 사용 1주일 후라는 $1.31{\pm}2.36$$-1.57{\pm}7.96$만큼 감소하였으며, $TNF-{\alpha}$는 사용 전에는 $2.74{\pm}14.24$이고 사용 1주일 후에는 $0.50{\pm}2.00$$-4.13{\pm}18.74$만큼 감소하였다. 비타민 C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IL-1{\beta}$는 사용 전에는 $1.00{\pm}2.19$이고, 사용 1주일 전에는 $17.16{\pm}81.55$$16.50{\pm}81.71$만큼 증가하였고, IL-6는 사용 전에는 $2.50{\pm}3.58$이고, 사용 1주일 후에는 $6.49{\pm}12.01$$4.11{\pm}12.14$만큼 증가하였으며, $TNF-{\alpha}$는 사용 전에는 $1.19{\pm}2.98$이고, 사용 1주일 후에는 $1.27{\pm}1.52$$-0.07{\pm}4.36$만큼 감소하였다. 비타민 C를 사용한 환자와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변화는 모두 비타민 C를 사용한 환자가 사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감소하거나 더 적게 증가하였지만 각각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IL-1{\beta}$에서는 P=0.06, IL-6에서는 P=0.166, $TNF-{\alpha}$에서는 P=0.54). 결론 : 비타민 C 사용여부에 따른 cytokines의 변화는 비록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지만 비타민 C를 사용한 환자의 cytokines이 모두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감소하였음을 보였다. 비타민 C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으로서 말기 암 환자에서 비타민 C사용은 임상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