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Identification and Weathering of Wooden Striker on the Divine Bell of King Songdok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당목(撞木)의 수종(樹種)과 열화(劣化)

  • Kang, Aekyung (Conservation Science Lab., Kyungju National Museum)
  • 강애경 (국립경주박물관 보존과학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wooden striker on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as examined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wood and the outdoor wood weathering caused by solar light, moisture, temperature and air. The species of the wooden striker was identified to Zelkova serrata. When observed the striker with naked eyes, the results were surface discoloration (graying), cracking and roughness. In order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deterioration type, the specimen were separated to three part(I, II,III-spot). The I-spot was discolored to gray and at the same time entirely covered with dust. So the observation was impossible. The II-spot was also discolored but its texture could be observed. On it could observe numerous fungal hypae and dirts like dust flown into the cell lumens. The cell wall has been so weakened by weathering that it lost the physical intensity. This have made microchecks and splits on the cell wall. Although fungal hypae covered the cell, they did not result in wood decay. The III-spot, located just 0.5 mm below the surface, was maintaining the natural red-brown color of the wood. Its cell wall was similar to that of sound wood. These changes are different from wood decay, and limited only to the surface of the striker-less than or equal to 0.5 mm below.

성덕대왕신종 당목의 수종과 오랜 세월동안 외부적인 요인(태양빛, 수분, 온도, 공기)에 의한 열화를 조사하였다. 당목의 수종은 느티나무(느릅나무과, Zelkova serrata)로 밝혀졌다. 열화로 인한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표면변색, 할렬, 목재면의 거칠어짐이 나타났다. 미세형태학적인 변화는 열화형태에 따라 세 부분(I, II, III-spot)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I-spot에는 재색으로 변색됨과 동시에 조직의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로 먼지층이 완전히 조직을 뒤덮고 있었다. 그와 달리 변색이 되었지만 조직의 관찰이 가능한 II-spot는 무수한 균사와 세포내강에 유입된 먼지 등의 오염물이 관찰되었다. 세포벽은 열화로 인해 물리적인 강도를 소실하여 약화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세포벽의 미세한 할렬과 찢김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균사가 세포를 뒤덮고 있지만 그로 인한 목재 부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면에서 불과 0.5 mm 아래의 III-spot는 목재의 고유한 적갈색을 유지하고 있으며 세포벽은 건전재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변화들은 목재부후와는 구별되었으며 표면에서 불과 0.5 mm 이하의 지극히 표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