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Volume 14 Issue 4
- /
- Pages.568-578
- /
- 2003
- /
- 1225-9594(pISSN)
- /
- 2288-4203(eISSN)
Effects of Self Care Program on Hypertensive Control in Hypertensive Patient
고혈압환자에게 적용한 자가관리프로그램 중재 효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self-care program on knowledge and symptoms related hypertension self-care and physiological index in essential hypertensive patients aged between 35-74 year.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is study were 70 men and women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adults at Sangju Red Cross Hospital in Gyeongsanbuk-do,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the 15th of September to the 30th of April in 2002. This study measur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BP, DBP, the mean value of the two measures) and total cholesterol (TC) and surveyed the subjects' diet and life style in relation to hypertension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order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of self-care program, the author carried out t-test, paired t-test, ANCOVA, chi-square analysis and effectiveness index (EI)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 group got higher mea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degree of low sodium intake and the degree of high calcium and high potassium intak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effectiveness index of the self-care program in smoking was 0.797 at the 1st posttest and 0.601 at the 2nd posttest, and in physical activities 0.600 at the 1st posttest and 0.849 at the 2nd posttest. The rate of regular antihypertensive drugs intak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index of the self-care program was 0.715. The mean score of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usefulness of self-care programs in reducing systolic blood pressure and in promoting self-care related to diet and life style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ypertension.
본태성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고혈압 자가관리를 증진시키고 생리적 지표인 혈압,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자가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01년 9월 15일부터 2002년 4월 30일 까지 상주적십자병원에 등록된 본태성 고혈압환자로서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 중인 35세이상 75세 미만 남 여 70명을 대상으로 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식습관 변화에서 저염분섭취정도와 고칼슘 칼륨섭취 정도가 1차 사후 검사와 2차 사후 검사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높아졌고, 두 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0.01). 그러나 동물성 지방섭취정도에는 1차 사후 검사와 2차 사후 검사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습관의 프로그램 중재 효과지수는 흡연이 1차 사후 검사시 0.797, 2차 사후 검사시 0.601, 운동이 1차 사후 검사시 0.600, 2차 사후 검사시 0.849이었다. 그리고 음주정도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규칙적 항고혈압제 복용의 프로그램 중재 효과지수는 0.715이었다. 생리적 지표 중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1차 사후 검사와 2차 사후 검사시 낮아졌으나 2차 사후 검사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1차 사후 검사와 2차 사후 검사시 낮아졌으나 (p<0.05),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콜레스테롤치는 실험군이 2차 사후 검사시 낮아졌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두 군 간에도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자가관리증진프로그램이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개선, 그리고 규칙적인 항고혈압제 복용을 포함하는 자가관리를 증진시키고, 수축기 혈압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이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