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에 형성된 타액성 단백질에 관한 생체연구

Adsorption of Salivary Proteins on Titanium Implants

  • 이승호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구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이용무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류인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정종평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한수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최상묵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Lee, Seung-H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u, Yo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Mo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yu, In-Cheol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Chong-P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Soo-Bo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Sang-Mook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06.30

초록

치과용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은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되는 세균의 침착의 결과로 생기는 임플란트 주위염이다. 구강 내에서 세균성 치태의 침착은 치태가 부착하는 기질 표면의 물리적 성상과 타액성 피막의 성분에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 피막의 유기질 성분의 차이가 치태의 성분과 병원성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생체재료의 표면에 침착되는 치태세균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특이한 세균 침착을 보이며 이는 초기 타액성 피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플라즈마분사법으로 표면 처리된 타이태늄 임플란트에 흡착되는 타액성 단백질 피막의 특성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법랑질 조각과 플라즈마분사법으로 표면 처리된 타이태늄 임플란트를 스프린트에 치실을 이용하여 연결한 장치를 구강 내 장착하여 2시간 동안 피막이 침착되게 한 후 피막을 분리 추출하여 냉동 건조시켰다. 재수화 과정을 거치고 나서 전기 영동법과 Western transfer 분석을 통해 단백질 성분에 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람의 총 타액과 이하선 타액 및 악하선-설하선 타액을 수집기를 이용하여 채취하고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후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막 흡착 전후의 표면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타이태늄 임플란트에 흡착된 피막은 법랑질 표면의 피막과는 다른 단백질 성분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악하선-설하선 타액에서 유래하였다. 임플란트와 법랑질 표면 모두에서 흡착된 피막에는 아밀라제, 분비성 면역 글로불린A 및 락토페린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나 법랑질의 경우는 blotting이 약하게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시편의 표면에 균질한 피막이 덮고 있었으며 세균의 부착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통하여 플라즈마분사법으로 표면 처리된 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된 타액성 단백질 성분은 법랑질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치태세균의 종류 및 병원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법랑질과 타이태늄 임플란트는 기질과 표면구조가 다르므로 표면에 형성 되는 치태성분도 다르다는 사실과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에 흡착되는 초기 타액성 단백질의 성불이 타이태늄 표면에 침착되는 미생물 군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임플란트 치료 시에 올바른 치태 관리법의 교육을 통하여 환자 스스로 적절한 관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Scannapieco FA, Saliva-bacterium interactions in oral microbial ecology. Crit Rev Oral Biol Med 1994;5:203-248 https://doi.org/10.1177/10454411940050030201
  2. Levine MJ, Reddy MS, Tabak LA, Loomis RE, Bergey EJ, Jones PC, Cohen RE, Stinson MW, AlHashimi I. Structural aspects of salivary glycoproteins. J Dent Res 1987;66:436-441 https://doi.org/10.1177/00220345870660020901
  3. Mandel ID. Functions of saliva. J Dent Res 1987: 66: 623-627 https://doi.org/10.1177/00220345870660S203
  4. Al-Hashimi, Levine MJ. Characterization of in vivo salivary-derivedenamel pellicle. Archs Oral Biol 1989;34:289-295 https://doi.org/10.1016/0003-9969(89)90070-8
  5. Jensen JL, Lamkin MS, Oppenheim FG. Adsorption of human salivary proteins to hydroxyapatite: A comparison between whole saliva and glandular salivary secretion. J Dent Res 1992;71:1569-1576 https://doi.org/10.1177/00220345920710090501
  6. Orstavik D, Kraus FW. The acquired pellicle: Immunofluorescent demonstration of specific proteins.J Oral Path 1973;2:68-76 https://doi.org/10.1111/j.1600-0714.1973.tb01675.x
  7. Bennick A, Structuraland genetic aspects of proline-rich proteins J Dent Res 1987;66:457-461 https://doi.org/10.1177/00220345870660021201
  8. Edgerton M, Levine MJ, Characterization of acquired denture pellicle from healthy and stomatitis patients. J Prosthet Dent 1992;68:683-691 https://doi.org/10.1016/0022-3913(92)90387-P
  9. Schilling KM, Bowen WH. Glucans synthesized in situ in experimental salivarypellicle function as specific binding sites for Streptococcus mutans, Infect Immun 1992;60:284-295
  10. Loomis RE. Prakobphol A, Levine MJ, Reddy MS, Jones P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comparison of two mucins from human submandibularsublingual saliva. Arch Biochem Biophys 1987;258:452-464 https://doi.org/10.1016/0003-9861(87)90366-3
  11. Cohen RE, Levin MJ. Salivary glycoproteins in: Tenovuo Jo editor. Human saliva: clinical chemistry and microbiology. Vol 1.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89; 101-130
  12. McNabb PC, Tomasi TB. Host defense mechanisms at mucosal surfaces. Ann Rev Microbiol 1981;35:477-496 https://doi.org/10.1146/annurev.mi.35.100181.002401
  13. Bennick A, Chau G, Goodlin R, Abrams S, Tustian D, Madapallimattam G. The role of human salivary acidic proline-rich proteins in the formation of acquired dental pellicle in vivo and their fate after adsorption to the human enamel surface. Arch Oral Biol 1983;28:19-27 https://doi.org/10.1016/0003-9969(83)90022-5
  14. Bennick A. Salivary proline-rich proteins. Mol Cell Biochem 1982;45:83-99
  15. van Steenberge D, Klinge B, Linden U, Quirynen M, Herrmann I, Garpland C. Periodontal indices around natural titanium abutments: A longitudinal multicenter study. J Periodontol 1993; 64: 538-541 https://doi.org/10.1902/jop.1993.64.6.538
  16. Weyant RJ.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loss and peri-implant tissue health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 9: 95-102
  17. Ong JL, Prince CW, Raikar GN, Lucas LC. Effect of surface topography of titanium on surface chemistry and cellular response. Implant Dent 1996;5: 83-88 https://doi.org/10.1097/00008505-199600520-00002
  18. Kohavi D, Klinger A, Steinberg D, Mann E, Sela NM. $^\alpha$Amylase and salivary albumin adsorption onto titanium, enamel and dentin: an in vivo study. Biomaterials 1997;18:903-906 https://doi.org/10.1016/S0142-9612(97)00026-4
  19. Sutter F, Schroeder A. Straumann F. Engineering and design aspects of the ITI hollow-basket implants. J Oral ImplantoI 1983;10:535-551.
  20. Jenkins GN.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the mouth (Edited by Jenkins GN) 4th ed. Blackwell Scientific, London. 1978: 360-413
  21. Tenovuo J, Mansson-Rahemtulla B, Pruitt KM, Arnold R. Inhibition of dental plaque acid production by the salivary lactoperoxidase system. Infect Immun 1981; 34: 208
  22. Lee SJ, Kho HS, Lee SW, Yang WS, Experimental salivary pellicles on the surface of orthodontic material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 59-66 https://doi.org/10.1067/mod.2001.110583
  23. Holt SC. Basic bacteriology. In: SlotsJ, Taubman MA, eds. Contemporary or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St. Louis: Mosby Year Book, 1992:3-29.
  24. Nikawa H, Samaranayake LP, Tenovuo J, Pang KM, Hamada T. The fungicidal effect of human lactoferrin on Candida albicans and Candida krusei, Arch Oral Biol 1993;38:1057-1063. https://doi.org/10.1016/0003-9969(93)90167-K
  25. Soukka T, Tenovuo J, Lenander-Lumikari M. Fungicidal effect of human lactoferrin against Candida albicans. FEMS Microbiol Lett 1992;90: 223-228. https://doi.org/10.1111/j.1574-6968.1992.tb05156.x
  26. Brecx M, Theilade J, Attstrom R. Ultrastructural estimation of the effect of sucrose and glucose rinses on dental plaque formed on plastic films. Scand J Dent Res 1981; 89:157-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