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Everyday's Labor and Leisure Time in South Korea from 1981 to 2000 in terms of Socio-economic and Spatial Perspective

사회.경제.공간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일상적 노동과 여가 시간 변화, $1981{\sim}2000$

  • Park, Kyu-Taeg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everyday's labor and leisure time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n which her economy has been changed from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y to services or technology and knowledge-oriented industry. Generally speaking, the changing patterns of everyday's labor and leisure time in South Korea from 1981 to 2000 are very complex and dynamic. So it is very careful for us to simply assert the fact that everyday's labor time is decreased and everyday's leisure time is increased due to the deindustrialization of a capitalist country. Specifically, the changes of everyday's labor and leisure time in South Korea are varied in terms of socio-economic and spatial perspective. The labor time of all kinds of occupations has been increased at the weekda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ut the leisure time of those except technical occupation has been decreased at the weekend. The socio-economy of South Korea after the 1990s became dependent on more educated workers than less ones. Also the more educated people work hard at the weekday, but they get more leisure time at the weekend. In terms of spatial perspectives, the South Korean economy has become dependent on the workers in cities, particularly large ones more than those in rural regions because of the rapidly establish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fter the early 1980s. The time of people's spatial movemen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levels of education both at the weekday and the weeken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 사회에 있어 사람들의 일상생활 활동의 토대가 되는 노동과 여가 시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 기술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일상적 노동과 여가 시간의 변화는 사회 경제 공간의 관점에서 대단히 복잡한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자본주의 경제가 탈산업화됨에 따라 노동시간은 감소하는 반면 여가시간은 증가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 혹은 예측에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성별 직업별, 학력별 그리고 지역과 공간 이동의 측면에서 노동과 여가 시간의 변화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모든 직업에서 평일의 노동시간은 증가하였고, 일요일은 기능 작업직을 제외한 모든 직업에서 노동시간이 감소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경제는 저학력 노동보다 고학력 노동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를 그리고 고학력 집단은 평일에 많은 일을 하고 일요일에 적게 일하는 구조를 형성시켰다. 지역별 노동시간의 변화는 1980년대 초반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한국 사회 경제는 농촌적 성격을 지닌 읍과 면 거주자들보다 도시, 특히 대도시 거주자들의 노동에 보다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지난 20년 동안 평일과 일요일 사람들의 이동시간은 학력에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