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만포-강계 지역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Landscape Fragmenation of Forest of the Cropland Increase Using Landsat Images of Manpo and Gangae, Jagang Cities, Northwest Korea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최한성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신근하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강철성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한욱 (육군사관학교 환경학과)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NUE) ;
  • Kim, Nam-Shin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Choe, Han-Sung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Shin, Keun-Ha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Kang, Chul-Sung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Han, 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MA)
  • 발행 : 2003.12.30

초록

본 연구는 1993년과 2002년의 위성영상의 비교분석을 통해 북한 만포 강계 지역의 9년간의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지역에서의 농경지는 9년 동안 49.9% 증가하였고, 산림지는 16% 감소하였다.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보면, 경작지의 평균고도는 1993년의 381m에서 412m로, 경사도는 $10^{\circ}$에서 $13^{\circ}$로 상승하였다. 9년 동안 확대 개간지 자체만을 보면 평균고도 455m, 경사도 $15^{\circ}$ 이르며, 최대 경사도는 $70^{\circ}$에 육박하였다. 파편화에 따른 패치 경향을 보면, 1993년에서 2002년 동안 패치수 394에서 1,241개로 증가하였으며, 패치의 증가와 함께 패치의 형태지수와 프랙탈 차원도 약간 증가하였다. 경작지 개간 고도는 $450{\sim}750$에서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북한 농업 생산성은 정치 및 사회구조의 개건, 농업 발전을 위한 외부지원, 산지삼림의 복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quantitatively changes of forest and cropland landscape due to cropland increase toward higher mountain slope during 9 years from 1993 to 2002, using Landsat images and field survey in the vicinity of Manpo and Gangae cities, Jagang Province, Northwest Korea, During 9 years, cropland has increased as 49.9%, forest area decreased as 16%.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ropland changes present that average elevation of cropland are increased from 381m of 1993 year to 412m of 2002 year, and average gradient increased from $10^{\circ}$ to $13^{\circ}$. In increased area of cropland during 9 years, the average elevation is 455m, and average gradient is $15^{\circ}$ with maximum gradient $70^{\circ}$. Analysis of the patch phenomena by fragmentation of vegetation landscape show that number of patch increased from 394 to 1,241 and also values of shape index, and fractal dimension of vegetation are increased slightly, during 9 years. Croplands have developed mainly in mountain slopes of elevation between 450 to 750m.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t should be required political and social stabilization, international and South Korea's assistance, and restoration of mountain fores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