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Conditions of Sediment and Bottom Waters near Sediment in the Downstream of the Nagdong River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저층수 및 저질퇴적층의 환경

  • Jung, Ha-Young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Cho, Kyung-Je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정하영 (인제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 조경제 (인제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We survey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ttom water and sedimen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ediment on the eutrophication in the downstream of Nagdong River from 1998 to 2000. From May to August, DO concentration of bottom waters dropped below 5 mg $O_2/l$ and $NH_4\;^+$ and $PO_4\;^{3-}$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ottom waters, resulting in the great differences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ters. Fluxes across water-sediment interface would be substantially active in this period. The serial orders of the water fertility or eutrophication were Joman River > Sonagdong River > Nagdong River. The organic nutrient contents of sediment increased toward the lower parts of the river system. Organic contents of the sediment would be under the influence of water pollution and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diment bulk-density or particle size.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inorganic nutrients of sedimen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ore waters, and $PO_4\;^{3-}$, $NH_4\;^+$ and $SiO_2$ increased along the sediment depth. $PO_4\;^{3-}$ and $NO_3\;^-$ concentrations of the pore water were less than the overlying waters, while NH4+ and $SiO_2$ concentrations showed opposite trends. Exchangeable nutrients of sediment could be the repository for t]me nutrient exchange in the water-sediment interface.

낙동강의 하류지역 (낙동강, 서낙동강 및 조만강)의 수질오염에 있어서 저질퇴적층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질과 저층수의 환경을 조사하였다. 세 지점에서 수질을 모니터링 하였을 때, 고수온기인 5 ${\sim}$ 8월에 수표면과 저층간의 수온, 용존 산소, $PO_4\;^{3-}$, $NH_4\;^+$의 차이가 컸다. 7 ${\sim}$ 8월 중에 저층의 용존 산소는 대체로 5 mg $O_2/l$ 이하로 유지되는 빈도가 높았고, 이 기간에 저질-수층 경계면에서 $PO_4\;^{3-}$$NH_4\;^+$의 이동이 활발할 것으로 추정된다. 저질에 가까운 저층에서 무기 영양염 농도와 수층chl-a 농도는 지역적으로 낙동강<서낙동강<조만강의 순이었고 수심이 얕고 저질 퇴적층이 발달할수록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저질의 유기물 함량은 하류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낙동강보다는 서낙동강 수계에서 더 높았으며 저질의 가비중과 역 상관관계로서 오염도 뿐 아니라 저질입도와 관련이 있었다. 저질 공극수내 $PO_4\;^{3-}$$NO_3\;^-$은 수층보다 그 농도가 매우 낮았으나 $NH_4\;^+$$SiO_2$농도는 수층과 유사하거나 더 높았다. 공극수 내 $NH_4\;^+$$SiO_2$농도는 저질 깊이에 따라 증가하였고, $PO_4\;^{3-}$는 감소한 반면 $NO_3\;^-$은 일정하였다. 반면 저질 내 치환성 무기영양염은 공극수 무기영양염 농도보다 최대 수백배 높았으며 $PO_4\;^{3-}$, $NH_4\;^+$, $SiO_2$는 저질 깊이에 따라 감소했으나 $NO_3\;^-$는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양미, 송홍규. 2000. 팔당호 수변부 퇴적물이 수층의 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3: 23-30.
  2. 강양미, 송홍규. 2000. 팔당호 수변부 퇴적물이 수층의 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3: 23-30.
  3. 대우건설. 2002. 장유하수처리장 사후환경관리 보고서, 연구기 관-인제대학교 낙동강환경센터. 120pp.
  4. 대우건설. 2002. 장유하수처리장 사후환경관리 보고서, 연구기관-인제대학교 낙동강환경센터. 120pp.
  5. 부산시 강서구. 1996. 하천 실태조사 및 정비기본계획수립 보고서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조만강), 보고서 작성기관-(주)해강. 281pp.
  6. 신경훈, 이광우. 1995. 팔당호 퇴적물과 공극수에 의한 상부수층의 오염가능성, 수질보전학회지 11: 9-15.
  7. 신재기, 조경제. 1999a. 낙동강에서 AGP에 의한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2: 349-357.
  8. 신재기, 조경제. 1999b. 낙동강하구에서 환경요인과 담수조류의 일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2: 341-348.
  9. 신현무. 2002. 낙동강 하류∙서낙동강의 토양과 저질. 낙동강하류∙회동수원지 수계 물관리 연구보고서, 부산광역시,pp. 257-267.
  10. 정진해. 2000. 토양학. 부민문화사. pp 75-76.
  11. 정하영, 조경제. 2003.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저질퇴적층의SOD와 영양염 용출. 한국육수학회지 36: 322-335.
  12. 조경제, 신재기, 이옥희, 정민경, 이선애. 2001. 서낙동강-조만강 부영양화에 따른 오염양상과 수질개선에 대한 고찰,인제대학교 낙동강환경센터 심포지움논문집 11: 1-48.
  13.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Association, Washington, D.C.
  14. Forsberg, C. 1989. Importance of sediments in understandingnutrient cyclings in lakes. Hydrobiologia 176/177:263-277.
  15. Foth, H.D. 1984. Fnudamentals of soil science. John Wiley& Sons. 37pp.
  16. Gaudette, H.E. and W.R. Flight. 1974. An inexpensive titration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carbonin recent sediments. J. Sediment. Petrol. 44: 249-253.
  17. Harpter, D. 1992. The biochemical manifestations of eutrophicationof freshwaters. 72pp.
  18. Herschy, R.W. 1999. Hydrometry Principles and Practices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376pp.
  19. Hwang, J.Y., E.J. Han, T.K. Kim, S.J. Kim, S.J. Yu, Y.S.Yoon, Y.S. Jung and P.W. Park. 1998. Distribution ofnutrients in Dae-Cheong Reservoir sediment. Env. Sci.(by Korean Env. Sci. Soc.) 2: 169-179.
  20. Kemp, W.M. and W.R. Boyton. 1984. Spatial and temporalcoupling of nutrient inputs to estuarine primary production:The role of particulate transport and decomposition.Bull. Mar. Sci. 35: 242-247.
  21. Nusch, E.A. 1980.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chlorophylland phaeopigment determination. Arch Hydrbiol.Beih. (Ergebn. Limnol.). 14: 14-36.
  22. Reddy, K.R. and D.A. Graetz. 1987. Internal nutrient budgetfor Lake Apopka. Chaper 3. St. Johns River ManagementDistrict Palatka, Florida. pp. 1-13.
  23. Southam, G. and C. Mackenzie. 1999. Sediment bacterialpopulations and methodologies to study the populationsimportant to xenobiotic degradation. In: Bioassessmentof Aquatic Sediment Quality (A. Mudroch et al. eds).Lewis Publisher, Boca Raton, London New York Washington,D.C. pp. 5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