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type Paltang Reservoir, Korea: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의 육수학적 특성:수문과 수환경 요인

  • Shin, Jae-Ki (Department of Biological System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Kang, Chang-Keun (Divis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
  • Kim, Ho-Sub (Development Institute(NFRDI)) ;
  • Hwang, Soon-Jin (Department of Biological System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신재기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강창근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 김호섭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황순진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discharge patterns and maior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in a river-type reservoir. Specifically, daily monitoring was conducted in Paltang Reservoir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1. Observation of the daily changes of the environment factors showed that natural meteorological factors and hydrological factors causing the change of water discharge had a major effect on the aquatic environment. Rainfall was the main source of hydrological changes, with its frequency a possible direct variable governing the range of discharge changes. Rainfall was weak in November${\sim}$May and heavy in June${\sim}$October (heavist in summer). The range of water discharge was greatest during summer (July to September) and lowest during winter (January to February).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in the pattern of annual variation. First, type I included water temperature, turbidity, water color and organic matter (COD), which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discharge. Second, type ll consisted of DO and pH, which de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discharge. Third, type III included conductivity, alkalinity and chloride ion, which showed middle values with increasing water discharge. Monthly variation of aquatic environments explained by the first two dimensions of the PCA suggests that aquatic environments of Paltang Reservoir may have annual cycle typical of river-type reservoirs depending on hydrological factor such as water discharge.

본 연구는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에서 강우 ·유량 패턴과 주요 수환경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일 모니터링 하였다. 수환경의 일 변동을 관찰한 결과 자연적 기후 요인과 유량 변동의 수문학적 요인 영향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은 수문 변동의 주된 근원이 되었고, 강수빈도는 유량의 변동 폭을 좌우하는 직접적인 변수가 될 수 있었다. 강수량은 11 ${\sim}$ 5월에 적었고, 6 ${\sim}$ 10월에 풍부하여 대비가 되었으며 여름철과 가을철에 편중된 구조를 보였다. 유량은 7 ${\sim}$ 9월사이에 변동 폭이 가장 컸고, 1 ${\sim}$ 2월로 갈수록 변동이 거의 없었다. 주요 환경 요인에 대한 수문학적 영향은 각 요인의 계절적 변동을 좌우하였고, 그 양상은 크게 증가형, 감소형 및 중간형의 3가지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환경 요인 중에서 수온, 탁도, 색도 및 유기물(COD)요인은 증가형에, DO, pH는 감소형에 해당하였다. 중간형에는 전기전도도, 알칼리도 및 염소 이온 농도가 포함되었으며, 각 요인간에도 상호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육수학적 특성으로 볼 때,호수형 저수지의 특성과 다소 이질적인 하천형 저수지의 수환경관리에 대해 수문학적 요인의 중요성이 제시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콩동수,윤엘맹,류재근 1996a 팔당호의 방샤환경 벚 앨수지,한국육수학회지 29: 39-50
  2. 콩동수,윤엘맹,류재근 1996b 팔당호의 물수지 벚 수문특성,한국육수학회지 29: 51-64
  3. 콩동수, 정동엘 1999 하천형 연콩호(팔당호)의 수환경 특성벚 수찰관리,저11 6회 국제심포지웅 21e 환경 현안과 변화,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pp , 41-83
  4. 콩동수 1992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샤학위논문 4 2 2 p p
  5. 콩동수 1995 팔당호의 영양구조적 특성,수칠개선 시스템 개발에 관한 한 열 심포지웅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pp167-196
  6. 기상정 1999 - 200 1. http://www.kma.go.kr , 기후자료
  7. 강동성, 강범청, 황갈순, 박주현 1995 팔당호의 부영양화 경향 ( 1 9 8 8 ~ 1994) , 한국수칠보전학회지 11: 295-302
  8. 감동성,강범청 1990 팔당호의 열차생산,한국육수학회지 23167-179
  9. 감범청, 허우명, 황갈순, 강동성, 최광순 1995 소양호에서 언의 존재 형태별 분포어1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8: 151157
  10. 강용재 1996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창과 지표종을 。1 용 한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29323-345
  11. 강종만,박준대,노혜란,한명수 2002a 소양호와 팔당호 수칠의 수직 벚 계질적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5: 10-20
  12. 강종만, 허성냥, 노혜란, 양희정, 정완종, 암연택 2002b 팔당호수찰의 겨1 질 멸 변화특성 벚 장기주셔I], 한국물환경학회지18: 67-76
  13. 강종만, 허성냥, 노혜란, 양희정, 한명수 2003 호소형 벚 하천형 댐 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6: 124-138
  14. 강좌관,홍육희 1992 국내 연콩댐호의 물리적 환경연자에 의한 호수특성 고창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 4957
  15. 감준호, 조강현 1996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상수원 수걸의 개선 팔t냥호의 연구 샤려1 한 엘 지방간 생태콩학적 수칠개선콩법에 관한 심포지웅 논문집,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p p, 3 - 1 7
  16. 박성배, 아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의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찰에 마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 160-171
  17. 빅해경, 정원화, 판오상 류재근 2000 팔당호에서 남조류 벚 남조류 생산 옥성물찰의 져1 질 변동 , Algae 15: 29-35
  18. 산재기,강창근,황순잔 2003 팔당호에서 수중 탁도의 엘 변동과 고탁수의 압자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6: 257-268
  19. 산재기, 조경제, 오연혜 1999 대정호에서 수환경 요연과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529-541
  20. 산재기, 조주래, 황순잔, 조경제 2000 경안천 팔당호의 부영양화와 수찰요엽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3: 387 -394
  21. 。1종냥, 고맹육, 강응태 1988 팔당 상수원 보호 종합대책에관한 연구 (8 수리수문 편) 국립환경연구원 보고서 NIER88-15-240, pp , 351-470
  22. 조강현, 박상규, 강준호 1994 팔당호 연안대에서 저토와 수체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반각용, 한국육수학회지 2759-67
  23.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샤 1999-2001. http://www.khnp.co.kr.수계 댐운영 정보
  24. 한국수자원콩샤 1999- 2001. http://www.kowaco.or.kr. 수자원관리 종합정보 시스템 다목적댐 수문 정보
  25.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엘, 최영갈 1995 팔당호의 생티1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접 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 335-344
  26. 한명수, 유재근, 유광엘, 콩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l 수찰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141-149
  27. 홍성수 2001 수도극단 상수원 수젤과 부영양화에 관한 환경생태석 연구, 한양대학교 。1 학석 샤 학위논문, 6 2 p p
  28. An, K.G. 2000a. Dynamic changes of dissolved oxygen duringsummer monsoon. Korean J. Limnol. 33: 213-221.
  29.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phosphorus. Korean J. Limnol. 33: 222-229.
  30. An, K.G. 2000c. The impact of monsoon on seasonal variabilityof basin morphology and hydrology. Korean J.Limnol. 33: 342-349.
  31.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2. Cho, K.H. and J.H. Kim. 1994. Distribution of aquatic macrophytes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tangho, Korea.Korean J. Ecol. 17: 435-442.
  33. Cole and Hannan. 1990. Dissloved oxygen dynamics. In: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eds. ReservoirLimnology-Ecological Perspectives. John Wiley& Sons, Inc. pp. 71-107.
  34. Criss, R.E., M.L. Davisson and J.W. Kopp. 2001. Nonpointsources in the lower Missouri River. J. AWWA 93: 112-122.
  35. Ford, D.E. 1990. Reservoir transport process. In: Thornton,K.W., B.L. Kimmel and F.E. Payne. eds. Reservoir Limnology-Ecological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Inc. pp. 15-41.
  36. Kalff, J. 2002. Limnology: Inland Water Ecosystems. Prentice-Hall, Inc., New Jersey, USA. 592pp.
  37. Kennedy, R.H. and W.W. Walker. 1990. Reservoir nutrientdynamics. In: Thornton, K.W., B.L. Kimmel and F.E.Payne. eds. Reservoir Limnology-Ecological Perspectives.John Wiley & Sons, Inc. pp. 109-131.
  38. Kim, B., K. Choi, C.G. Kim, U.H. Lee and Y.H. Kim. 2000.Effect of the summer monsoon on the distribution andloading of organic carbo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Korea. Water Research 43: 3495-3504.
  39. Kong, D.S. 1997.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 Limnol.30(supplement): 524-535.
  40. Old, G.H., G.J.L. Leeks, J.C. Packman, B.P.G. Smith, S.Lewis, E.J. Hewitt, M. Holmes and A. Young. 2003.The impact of a convectional summer rainfall event onriver flow and fine sediment transport in a highly urbanisedcatchment: Bradford, West Yorkshire. The Scienceof the Total Environment (in press).
  41. Parks, S.J. and L.A. Baker. 1997. Sources and transport oforganic carbon in an Arizona River-Reservoir System.Water Research 31: 1751-1759.
  42. Ryding, S.O. and W. Rast. 1989. The Control of Eutrophicationof Lakes and Reservoirs. Man and BiosphereSeries. UNESCO, Parthenon Publishing Group.
  43. Ryszkowski, L. and A. Bartoszewicz. 1989. Impact of agriculturallandscape structure on cycling of inorganicnutrients. In: Clarholm, W.M. and L. Bergstrom. eds.,Ecology of Arable Land. Kluwer Academic Publishers,Dordrecht. pp. 241-246.
  44. SPSS Inc. 1999. SPSS Base 10.0 User’s Guide. Chicago, IL,USA.
  45.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Limnology-Ecological Perspectives. A Wiley IntersciencePublication, John Wiley & Sons, Inc. 246pp.
  46. Wetzel, R.G.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3rd Edition.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1006pp.
  47. Wetzel, R.G. and G.E. Likens. 1991. Limnological Analyses.2nd ed. Spring-Verlag New York, Inc., USA. pp. 15-30.
  48.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Journal Hydrology 265: 149-163.